그래픽_뉴스워커 AG1팀
그래픽_뉴스워커 AG1팀

[ㄴㅅㅇㅋ_호텔업계 분석 호텔롯데] 호텔롯데는 호텔, 면세점, 테마 파크, 리조트 및 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기업공개를 시도했으나 번번이 무산으로 돌아갔으며 코로나에 직격탄을 맞아 사정이 더 어려워졌다. 백신 접종률이 높아지며 국가 간 이동이 회복되자 매출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세업에서 다시금 부활의 기조가 드러나고 있다. 하지만 그간의 적자로 자본총계가 감소해 재무 건전성은 뒤떨어졌다. 기업공개의 성공이 필요하지만 적자에도 일본 롯데홀딩스, 일본 주식회사 L 4 투자회사 등에 배당까지 지급해 자본 감소에 대비하지 못했다. 또 신동빈 회장이 대표직을 사퇴했지만 실무진보다 2배 이상 차이가 날 정도로 급여까지 받아가 오너리스크에 휩싸일 만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면세 사업 부활에 활짝’, 연이은 실적 부진으로 자본력 약화에 울상


[단위: 천원]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최근 3년간의 호텔롯데 실적 추이에 따르면 기업공개에 대한 기대에 부흥하지 못했으며 2017년을 기점으로 적자를 내고 있다. 코로나가 강타한 2020년 이전인 2019년 영업이익 3183억원이었으나 211억원의 순손실로 적자를 반전시키지 못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 사태로 관광 수요가 줄자 면세 사업에 의존하는 매출 구조를 지닌 호텔롯데는 실적 회복은커녕 유지하는 것도 힘들었다. 2020년에는 4976억원가량의 영업 손실을 낸 데다 순손실을 14799억원으로 전년 대비 적자 폭은 무려 14588억원 이상 벌어졌다.

2020년3분기 vs 2021년3분기 기준 [단위: 천원]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2021년에도 코로나 팬데믹이 해결되지 않았지만 백신 접종률 증가 등으로 관광업이 조금씩 재개됐다. 이로 인해 호텔롯데의 연결기준 매출액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316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81억원 증가했다. 영업손실, 순손실은 적자 상태가 이어졌으나 다행히 적자 폭이 감소해 어느 정도 실적의 방향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단위: 천원]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계속된 순손실은 곧 이익잉여금 규모를 줄여 자본력이 약화된 결과를 초래했다. 이익잉여금이 2018년과 2019년 약 7조원대 수준에서 1년 새 6조원대로 줄었다. 2019년 당시 이익잉여금이 61468억원이었으며 이는 기존에 비해 약 1조원 이상이 그야말로 증발한 셈이다. 흑자 전환을 하지 못한 2021년에도 이익잉여금이 6139억원(3분기 말 기준)으로 전년 말 대비 1329억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연히 자본총계도 줄어 총 67527억원에 그쳤다.

[단위: %]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실적 부진이 곧 자본 감소로 이어진 상황에서도 일본 소재의 주주를 대상으로 배당만 100억원대를 지급했다. 이 때문에 부채 총계와 차입금 및 사채 합계액의 자본총계 대비 비중이 크게 늘었다. 호텔롯데는 차입금과 관련해 차입금, 사채로만 계산된 비율이 150%, 총부채비율이 200%를 넘지 않아야 하는 유지 조건이 있다. 근접한 수준은 아니나 자본 규모가 감소되며 이러한 재무비율 유지 조건에 점차 다가가고 있는 중이다. 가령 20213분기 말 부채비율 174.2%2018106.5%에 비해 67.2% 포인트 높아졌다. 차입금 및 사채의 비중도 지난해 9월 말 113.23%2018년 이후 가장 높았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차입금에 대한 재무비율 조건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그만큼 재무 건전성은 악화됐다.


대표직 내려놨지만 실무자보다 고액 연봉수령.. 오너리스크 우려


2017~2020년 기준 [단위: 백만원]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공시 자료에 따르면 202011일부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호텔롯데의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대표직을 맡고 있을 당시인 2018년 신 회장은 이사회 참석을 일절 하지 않았지만 145800만원의 급여를 받았다. 이듬해 참석률 14%로 대단히 저조했음에도 불구 기존 대비 두 배 이상인 333300만원의 급여를 수령했다. 롯데그룹 내 중간 지주를 맡고 있는 호텔롯데에 대한 신 회장의 이사로서의 활동이 뜸했지만 고액의 연봉을 받아간 것은 오너리스크로 번질 수 있는 대목이다.

[단위: 백만원] 자료출처: 금융감독원

롯데그룹의 전체적인 책임을 지고 있다고 해도 미등기 임원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정작 전문 경영인에 비해 두 배 이상 차이가 나는 급여를 챙겨가고 있다. 이봉철 사장은 2020년 급여 69600만원, 상여 9700만원으로 총 79300만원을, 이갑 부사장은 같은 해 급여 43000만원, 상여 13900만원으로 총 56900만원을 받았다. 이 사장의 연봉과 신 회장의 연봉 차이는 2.2, 이 부사장과는 3.1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그룹 회장으로서의 영향력이 상당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일본 기업의 이미지를 최대한 줄여야 하기 때문에 호텔롯데의 기업 공개는 꼭 필요한 과정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적자 전환 이후 자본이 감소하는 와중에도 일본 롯데홀딩스 등의 주주를 상대로 배당을 지급해 재무 건전성이 떨어졌다. 또한 이사회 활동도 뜸했던 사내 이사 시절뿐만 아니라 미등기 임원이 된 후에도 고액 연봉을 신동빈 회장에 지급하고 있다. 향후 기업공개라는 과제 외에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잘 인식해야 한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