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가격 협상, 운송노조와 갈등 등 풀어야 할 문제 많아

미콘 업계의 난항을 부추기는 일은 또 있었다. 바로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동조합 소속 수도권 5개 지부의 도심권 레미콘 운송 거부다. 레미콘 운송노조 측은 수도권 최대 레미콘 생산기지였던 삼표 성수 공장이 8월 철거되고 동남북 주변 교통체증,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통행제한 시간 등으로 인해 시내 진입이 힘들어지고 있다며 건설사를 대상으로 운임 인상을 요구하며 운송 거부 시위에...<본문 중에서>
미콘 업계의 난항을 부추기는 일은 또 있었다. 바로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동조합 소속 수도권 5개 지부의 도심권 레미콘 운송 거부다. 레미콘 운송노조 측은 수도권 최대 레미콘 생산기지였던 삼표 성수 공장이 8월 철거되고 동남북 주변 교통체증,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통행제한 시간 등으로 인해 시내 진입이 힘들어지고 있다며 건설사를 대상으로 운임 인상을 요구하며 운송 거부 시위에...<본문 중에서>

시멘트 가격 인상...


지난달 초 시멘트사들이 톤당 최대 15%까지 가격을 인상했다. 이유는 급등한 유연탄 가격이었다. 유연탄은 시멘트 제조원가의 30%가량을 차지하는데,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격이 급등하며 지난해 평균 가격 대비 3배 상승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 시멘트사의 영업 이익이 감소하며 가격 인상은 불가피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레미콘 업계에서는 9월의 가격 인상이 과도하다며 반발했다. 지난해 7, 올해 2월은 유연탄 가격 상승분이 워낙 커 시멘트사의 인상안을 수용했지만 연이어 9월까지 가격을 추가 인상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가격 인상 이유를 구체적으로 알리는 등 과정도 없이 공문 한 장으로 통보하는 식이라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레미콘 업계 측에서는 시멘트업계가 독과점 시장을 배경으로 가격을 좌지우지하고 있다며 쌍용, 한일, 아세아, 삼표, 성신 5개 사가 전체 시장의 94%를 차지하는 구조를 들었다. 일방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면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런 와중 중견·대기업인 시멘트와 건설사 중간에 끼어 있어 원가 부담이 커져도 납품단가는 보장받기 어렵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런 만큼, 레미콘 업계에서도 강수를 뒀는데, 중소레미콘업계 비상대책위원회의 긴급회의를 통해 1010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하기로 한 것이다. 가을 건설 현장 성수기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다수의 우려를 야기한 해당 셧다운은 10일 연기돼 19일까지 재협상이 이뤄지면 원만한 마무리도 기대해 볼 수 있게 됐다.


레미콘 운송 거부...


한편 레미콘 업계의 난항을 부추기는 일은 또 있었다. 바로 한국노총 레미콘운송노동조합 소속 수도권 5개 지부의 도심권 레미콘 운송 거부다. 레미콘 운송노조 측은 수도권 최대 레미콘 생산기지였던 삼표 성수 공장이 8월 철거되고 동남북 주변 교통체증,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통행제한 시간 등으로 인해 시내 진입이 힘들어지고 있다며 건설사를 대상으로 운임 인상을 요구하며 운송 거부 시위에 나섰다.

레미콘은 빠르게 굳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장 출하 후 60~90분 안에 건설 현장에 공급돼야 하므로 경기·인천 공장에서 레미콘을 받아 사대문 안으로 공급하는 일의 난도가 이전 대비 훨씬 높아졌을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레미콘운송노조는 지난 7월 운반비 협상 과정에서도 파업을 단행한 바 있다. 당시 운송노조와 레미콘 제조사는 향후 2년 동안 운송비 24.5% 인상에 합의했지만 8월 삼표 성수 공장 철거가 변수가 됐다.

레미콘 업계에서는 운송노조 측이 올해 운반비 협상을 마무리한 지 3달도 지나지 않은 상황에서 집단행동에 나선 것을 두고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가격 인상 협상을 마무리해 레미콘 업체에게 기대할 게 없으니 건설사를 대상으로 사실상 협박에 나섰다는 것이다.


운송 재개, 그러나...


지난 18일부터 레미콘운송노조 소속 수도권 일부 지부의 서울 사대문 안 도심권 레미콘 운송이 재개됐다.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 관계자에 따르면 운송사업자가 요구하는 사대문 및 밀집지역 운송비 인상을 일부 건설사가 한시적으로 수용했다. 건설업계는 사대문 내 현장 중단에 따른 지체상금이 매일 수십, 수억 원에 이르기 때문에 일단 운송사업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향후 추가 논의를 진행하리라는 전망이다.

레미콘 업계 측은 협상 당사자도 아닌 건설사에 추가 운임 지급을 요구한 점 등에서 운송노조가 운송비의 변칙적 추가 인상을 유도했다고 보고 불공정행위로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는 등 강경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크든 작든 불가피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대체로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레미콘 업계가 시멘트 업계와의 협상부터 운송노조와의 갈등까지 실적 부진과 난항을 어떤 방향으로 풀어나갈지에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