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금융당국이 나서 정상화 요구하지만, 노사 협의 사항

금감원장 “노조의 행동이 상식에 부합하는지 살펴봐야”…강경 대응 예고

지난해 은행들은 ‘역대급 실적’을 달성하는 한 해를 보냈다. 이례적인 금리 인상에 대출금리는 더욱 치솟아, 이자 이익이 눈덩이처럼 불면서 지난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의 누적 이자 이익은 ‘40조 6000억 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조 원 가까이 늘어 사상 최대 규모다. 이런 가운데 시중 은행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이 끝났음에도 1년 5개월 이상 단축 영업 체계를 유지하면서 소비자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단체도 은행 영업시간 원상복구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본문 중에서>
지난해 은행들은 ‘역대급 실적’을 달성하는 한 해를 보냈다. 이례적인 금리 인상에 대출금리는 더욱 치솟아, 이자 이익이 눈덩이처럼 불면서 지난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의 누적 이자 이익은 ‘40조 6000억 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조 원 가까이 늘어 사상 최대 규모다. 이런 가운데 시중 은행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이 끝났음에도 1년 5개월 이상 단축 영업 체계를 유지하면서 소비자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단체도 은행 영업시간 원상복구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본문 중에서>

[ㄴㅅㅇㅋ_경제의 시선]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를 앞두고 노사가 갈등을 빚고 있다. 방역 당국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오는 30일부터 해제키로 함에 따라 은행 창구에서도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단축된 주요 은행의 영업시간을 원래대로(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되돌리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내 마스크 의무화 해제까지 앞두고 있는데 영업시간 단축을 유지해선 안 된다는 이유다. 다만 곧바로 정상화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영업시간 정상화는 노사 간 협의 없이 이뤄질 수 없는 데다 직원들 반발이 있기 때문이다. 금융노조에서 소송으로 맞서겠다고 나서고 있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의무가 해제되면 영업시간 단축에 대한 노사 합의도 자동 해제된다라는 내용의 공문을 노조에 보냈다.

아직 영업시간 정상화에 대한 협의가 안 된 이유는 노사 양측 동의 아래 단축 여부를 결정하도록 각 은행과 노조가 합의했기 때문이다. 은행은 노조와 협의가 선행되지 않으면 일방적으로 영업시간을 원래대로 되돌릴 수 없다.

금융노조는 은행권의 정상화 준비에 반발하는 입장이다. 금융노조는 은행의 영업시간 원상 복귀 조치를 막기 위해 가처분 신청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노조는 기존 영업시간(7시간)보다 30분 단축해 오전 9~오후 430분 사이(6시간 30)에 영업점이 자율적으로 영업하는 안 등을 주장했지만, 금융 사측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금융노조는 지난 25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사측이 일방적으로 영업시간을 코로나 팬데믹 이전으로 되돌린다면 사측은 합의 위반에 따른 법적 책임은 물론 산별 노사관계 파행에 따른 책임까지 부담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모습은 소비자들의 불편함은 안중에도 없는 모양새다. 특히나 온라인 뱅킹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을 배려하는 모습도 없다. 서민들은 고금리에 대출 이자를 감당하기 버거워하는 사이 은행들은 실적이 좋아서 성과급도 두둑이 챙길 수 있었다. 그런데 영업시간 복귀에는 왜 이리 야박한 걸까. 팬데믹 기간 동안 단축됐던 영업시간을 이전과 같이 되돌리는 것이니, 일을 더 하라는 이야기도 아닌데 말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26일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를 두고 금융노조의 적법하지 않은 의사 표현과 관련해 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 원장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가 사실상 끝났고 사측에서 법률적 검토를 거쳐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 요구를 했지만 이에 반대하는 노조의 행동이 과연 상식에 부합하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영업시간 단축은 소비자 권리 침해 하는 것


지난해 은행들은 역대급 실적을 달성하는 한 해를 보냈다. 이례적인 금리 인상에 대출금리는 더욱 치솟아, 이자 이익이 눈덩이처럼 불면서 지난해 3분기까지 4대 금융지주의 누적 이자 이익은 ‘406000억 원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조 원 가까이 늘어 사상 최대 규모다.

이런 가운데 시중 은행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이 끝났음에도 15개월 이상 단축 영업 체계를 유지하면서 소비자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단체도 은행 영업시간 원상복구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내는 등 비판하고 나섰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11일 은행 영업시간을 원래대로 1시간 늘리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성명에서 지난해 418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로 국민은 일상생활로 돌아왔으나 여전히 은행의 영업시간 단축 운영이 지속하고 있다라며 소비자에게는 대면·비대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고, 영업시간 단축은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금리 상승으로 역대급 수익을 기록하고도 자신들의 이익과 업무 편의성을 위해 소비자의 권익은 외면하는 처사라며 영업시간 정상화를 촉구했다.

시중 은행은 20217월 사회적 거리 두기 강화를 내세워 오전 9~오후 4였던 영업시간을 오후 ‘930~오후 330으로 한 시간 줄여 단축 영업을 이어오고 있다.


대면 활동 늘어 은행 창구 찾는 고객들 불만


금융 사측의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에 대한 의지는 강하다. 사측은 은행의 영업시간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는 30일부터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로 되돌릴 방침이다.

저축은행 등도 본격적으로 영업시간 정상화 준비에 들어갔다. 시중 은행 관계자는 일상 회복으로 대면 활동이 늘면서 은행 창구를 찾는 고객들의 불만이 높다라며 은행 영업시간 복구에 대한 사회적 압박이 커서 은행 단축 영업을 유지할 이유가 없다라고 말했다. 반면 금융노조는 일방적으로 영업시간을 되돌린다면 노사 합의 위반에 따른 법적 책임과 산별 노사관계 파행에 따른 책임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융노조의 은행 영업시간 정상화 반대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태도를 내비쳤다. 이 원장은 정당한 법 해석과 권한에 따른 조치에 대해 적법하지 않은 형태의 의사 표현이 계속된다면 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에는 은행 창구를 꼭 방문해야 처리할 수 있는 일이 많았다. 하지만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면서 디지털 금융 전환으로 비대면이 대세로 자리 잡아 어플을 활용해 개인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은행 업무가 많아졌다. 다만 대부분 젊은 층에 해당하는 말이다. 디지털 기기 활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은 아직도 헤매는 일이 많다. 물론 70대 이상의 어르신도 인터넷 뱅킹을 잘 다루는 분들이 있지만, 이런 경우는 드물다. 커피·햄버거 전문점에 가보면 키오스크 앞에서 작동법을 모르거나 어색해서 서성거리기만 하는 60대 이상의 어르신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아직 대출 등 중요한 업무는 대면을 선호한다.

은행은 영업시간을 줄이고 방문자들도 점점 줄면 결국 본인들의 자리도 곧 없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사람들이 은행에 가지 않고도 모든 업무처리가 가능해지면 은행 창구는 그야말로 존재 이유가 사라지는 셈이다.

물론 은행 영업시간 이후에 셔터가 닫히면 더 많은 일이 행원들을 기다린다고 한다. 하지만 영업시간 단축은 코로나19한시적으로 그렇게 하기로 했던 일이다. 거리 두기 해제와 실내 마스크 쓰기 의무화까지 없어지면 은행 영업시간도 복귀해야 마땅하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돈을 맡겨주고, 돈을 빌려 가는 금융 소비자들과 그에 따른 업무가 있기에 은행과 은행원들도 필요한 것이다. 코로나19로 멈췄던 일상이 차츰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 은행만 자꾸 소비자들의 권리나 편의는 생각하지 않고 이기적인 모습을 보이는 건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다. 금융 소비자들의 권리와 이익을 훼손시키는 일이 없도록 은행의 영업시간이 제 자리를 찾아가길 바랄 뿐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