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산업연구원 <2023년 2월 아파트입주전망지수>를 중심으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설문조사로, 100보다 높아야 입주가 늘어날 것으로 해석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입주 전망이 두드러지게 개선됐다는 지역도 해당 지수가 100 미만이라는 점에서 입주율이 하락하리라는 해석이...<본문 중에서>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설문조사로, 100보다 높아야 입주가 늘어날 것으로 해석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입주 전망이 두드러지게 개선됐다는 지역도 해당 지수가 100 미만이라는 점에서 입주율이 하락하리라는 해석이...<본문 중에서>

20231월 아파트 입주율

 


13, 주택산업연구원이 <20232월 아파트입주전망지수>를 발표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1월 전국 입주율은 66.6%, 전체의 2/3 수준을 기록했다. 12월과 비교하면 5.1% 하락한 수치다. 사실 60%대는 역대 최저를 기록한 지난해 11월이 첫 번째, 이번이 두 번째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1277.8%에서 175.2%2.6%p 하락했고, 5대 광역시는 71.9%에서 65.8%6.1%p 하락했다. 기타 지역의 경우 69.3%에서 63.9%5.4%p 하락했다. 결국 하락폭 자체는 광역시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 셈이다.

아파트 입주율은 지난해 582.4%에서 682.3%로 떨어지기 시작했고, 1166.2%까지 하락하다가 2023년 경제정책 방향(기획재정부),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국토교통부) 등에서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해 세제 및 금융, 규제 완화 등 종합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1271.7%로 반등했다.

그러나 지난 1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0.25% 인상에 따른 대출 비용 증가 등으로 1월에는 다시 큰 폭 하락한 상황이다. 이는 규제 완화 대책보다도 기준 금리 인상이 입주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수분양자의 미입주 사유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한 항목은 기존 주택 매각 지연(41.7%)’이었다. 0.9%p 차이로 세입자 미확보(39.6%)’2위를 기록했으며, ‘잔금 대출 미확보(14.6%)’, ‘분양권 매도 지연(4.2%)’ 등이 뒤를 따랐다.

순위와 별개로 세입자 미확보응답률의 경우 17.6%p 상승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기존 주택 매각 지연잔금 대출 미확보는 각각 14.3%p, 5.4%p 하락했다. 연구원 측은 이를 전매 제한 기간 완화, 규제 지역 해제, 청약 시 기존 주택 처분 의무 폐지에 따라 주택 거래가 용이해졌으나 기준 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 비용 부담 증가로 세입자 확보가 더 어려워진 상황이라 해석했다.


20232월 아파트 입주율 전망


한편 1월 대비 2월 중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전국적으로 12.7p 상승할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원 측은 지역별로 수도권 12.5p, 광역시 16.5p, 기타 지역 10.0p 상승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는 1.3 부동산 규제완화 대책에서 발표한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규제 지역 전면 해제, 전매 제한 기간 완화, 다주택자 규제 완화, 무주택자 대출 규제 완화 등 주택 시장 연착륙 대책에 대한 기대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확인된다.

특히 광주, 강원, 세종, 대전, 경남 5개 시도에서는 입주 전망이 두드러지게 개선돼 80p 선을 회복할 전망이다. 반면 울산의 경우 2.2p 하락을 예상했는데, 글로벌 조선경기 침체로 인한 지역 경제 악화가 입주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한국주택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설문조사로, 100보다 높아야 입주가 늘어날 것으로 해석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입주 전망이 두드러지게 개선됐다는 지역도 해당 지수가 100 미만이라는 점에서 입주율이 하락하리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전망과 필요 조치


연구소 측은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과 적극적인 규제 완화, 경기 회복 기대, 1기 신도시 재정비 추진 대책 발표 등으로 입주율은 점차 개선될 것이라 전망했다. 그런 한편 입주율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무주택자에 대한 대출 지원 강화 등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 첨언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