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2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 소득 분배 지표가 개선됐다고 하더라도 1분기 가구의 흑자액과 흑자율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에 더해 월평균 소득이 20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가 전체의 19.77%인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예 1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8.50%,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11.27%다. 지난해 최저임금 기준 월급이 191만4천440원인 점을 고려했을 때 최저임금 수준, 혹은 그보다 아예 낮은 소득을 얻는 가구가 전체의...<본문 중에서>

 


2022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통계청이 2022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84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4.1% 증가했다. 경상소득 중 근로소득은 7.9% 증가했으며, 사업소득은 전년 수준을 유지하는 한편 이전소득은 5.3% 감소했다. 비경상소득(경조소득, 보험 수령액 등 비경상적 수입)7.4% 감소했다. 실질소득은 1.1% 감소했는데, 3/4분기의 2.8% 감소에 이어 2분기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낸 상황이다.

가계지출 역시 증가했다. 월평균 3625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6.4%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실질소비지출로 따지자면 0.6%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 각각이 5.9%, 8.1%씩 상승해 전반적으로 증가를 보였다. 한편 20224/4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905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3.2% 증가했다.


소득 5분위별 가계수지

 


눈에 띄는 부분은 소득 5분위별 가계수지. 조사에 따르면 20224/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7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6.6% 증가했고,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427천 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2.9% 증가했다.

그에 따라 처분 가능 소득도 증가했다. 1분위 가구의 처분 가능 소득은 953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7.1% 증가했으며, 5분위 가구의 처분 가능 소득은 8295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2.3% 증가했다. 평균소비성향은 각각 2.4%p, 2.3%p 상승했다.

한편 지출 역시 적지 않게 늘었다. 20224/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03천 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9.1% 증가했고,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4552천 원으로 6.7%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1분위는 소득이 증가했더라도 소비지출이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흑자액 마이너스를 피할 수 없게 됐다. 20224/4분기 1분위 가구의 흑자액은 35만 원, 흑자율은 36.7%. 5분위 가구의 흑자액이 3743천 원, 흑자율이 45.1%인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지난 23일 브리핑에서 이 같은 상황에 대해 물가가 올라 그만큼 난방비 등도 많이 들다 보니 1분위 흑자액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게 아니냐라는 질문에 긍정했다.


소득분배지표 개선, 그리고


통계청 측에서는 1분위 가구의 시장소득,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5분위 가구의 이전소득이 감소하면서 지표가 개선됐다고 보고 있다. 흑자액보다는 소득의 증감이 분배 지표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 소득 분배 지표가 개선됐다고 하더라도 1분기 가구의 흑자액과 흑자율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에 더해 월평균 소득이 200만 원에 미치지 못하는 가구가 전체의 19.77%인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예 1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8.50%, 100만 원 이상 2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11.27%. 지난해 최저임금 기준 월급이 1914440원인 점을 고려했을 때 최저임금 수준, 혹은 그보다 아예 낮은 소득을 얻는 가구가 전체의 1/5 정도인 것이다.

이에 대해 통계청 측에서는 1분위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노인 가구의 경우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적지만 자산이 많고 저축 금액으로 생활하는 가구가 있을 수 있음을 언급하며 조사 결과 해석이 실제와 다를 수 있음을 짚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어지는 고물가 속 소비지출 증가에 취약한 계층은 여전히 존재할 것임은 분명하다. 정부가 앞으로는 어떤 방향에서 소득 분배 여건 개선에 힘을 실을지 귀추가 주목되는 바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