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워커_김태연 기자] 학교 급식 식중독 케이크 논란이 깊은 파장을 타고 사회적 공분으로 이어지고 있다.

식약처,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5일 부산 지역 등 전국 학교급식소 13곳에서 같은 원인으로 추정되는 집단식중독이 발생했다. 식중독 의심환자수는 11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총 2207명에 달한다.

케이크가 공급된 급식시설은 학교 175곳, 유치원 2곳, 사업장 12곳, 지역아동센터 1곳 등 190곳이었다.

현재까지는 6개 시,도에서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지만 문제의 음식 공급 업체가 공급하는 학교가 많아 환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식약처,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5일 부산 지역 등 전국 학교급식소 13곳에서 같은 원인으로 추정되는 집단식중독이 발생했다. 식중독 의심환자수는 11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총 2207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_황성환 그래픽 담당>

 
이런 가운데 식품의약안전처와 교육부, 질병관리본부가 초코케이크 집단 식중독 원인을 확인한 결과 살모넬라균이 식중독을 유발한 것으로 최종 확인되면서 식약처 (HACCP·해썹)인증이 도마위에 올랐다.

이는 케이크를 만든 해당 공장이 국가로부터 해썹 인증을 받았기 때문이다. 업체인 더블유원에프엔비는 식약처로부터 2016년 5월 23일 해썹 인증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사건에서 가장 책임을 크게 통감해야 할 식약처는 쏟아지는 총알 앞에 수수방관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식약처는 여태껏 식중독 의심 환자 통계만을 발표하고 있을 뿐 이번 사태 쟁점이 된 (HACCP·해썹)의 허점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물론 음식 제공 업체가 풀무원 계열사라는 점에서 풀무원도 식품 안전에 관한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

논란이 커지자 풀무원푸드머스는 공식 사과문을 통해 “앞으로 제조협력업체에 대한 관리 감독을 더 강화해 철저한 위생 관리로 안전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성심과 성의를 다하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해당 제품을 유통한 계열 회사로써 책임을 통감하겠단 뜻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런 사과에도 여전히 사태의 심각성은 거세지고 있지만 식약처의 사과는 쏙 빠져있는 모습이다.

SNS 및 포털사이트에선 앞으로 불거질 식약처 태도에 대해 일찍이 방어적인 댓글을 다는 네티즌들도 있다.

한 식중독 관련 기사에는 “또 살모넬라균 소량 검출됐으니 안전에 조심하겠단 앵무새 같은 말만 반복할건가”란 댓글이 달렸다.

일이 터진 후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심각해져야만 등장하는 “책임 통감·안전 조심”의 공식 루트를 이미 파악해서가 아닐까.

식약처 법령에 의하면 (HACCP·해썹)은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총체적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식품 원료관리부터 제조·가공·조리·유통까지 모든 과정에서 각 과정의 위해요소를 확인해 중점 관리하는 기준을 말한다.

하지만 현행 해썹은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총체적 시스템이라는 제도 취지에 걸맞지 않게 제조 공정과 사후 관리에만 집중돼 있다.

지난해 발생한 ‘살충제 계란’ 사태 당시 계란 잔류살충제 전수검사 결과 기준 위반 농가 59%가 (HACCP·해썹) 인증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해썹 인증의 효용성에 대한 지적이 일은 바 있다.

제도 부실에 관한 불안이 누적된 상태에서 이번 식중독 사태 역시 똑같은 전철을 밟은 셈이다.

식품에 대한 안전을 강조해 온 식약처지만 식품 안전에 관련한 총체적인 제도 부실을 여전히 개선하지 못 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민들이 이미 깊은 불신을 가진 바 있기에 식품 안전관리에 대한 보다 세밀한 제도 운영을 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든다.

이제부터라도 문제제기에 대한 원인부터 철저히 파악해 이번 사태를 계기로 부족한 관리감독시스템을 정비해 정직한 먹거리를 선사해야만 한다.

국민들은 ‘식품포비아’에 대한 여러 공포와 불안감 속에 제 먹거리 하나 간수하기 힘든 상황이다.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