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지선정위원들, 입지·편의시설·사회환경적 여건 등 꼼꼼히 살펴
29일 재공모 마감 앞두고 최적입지 선정 위한 이해도 높여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자원회수시설 입지후보지 재공모를 앞두고 입지선정위원회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우수사례로 꼽히는 천안·아산지역 자원회수시설을 17일 견학했다.
이날 견학은 오는 29일 재공모 마감 이후 입지선정위원들이 타당성 조사와 후보지 평가‧심의를 위해 다른지역 시설 입지와 사회적‧환경적 여건 등 선진시설을 직접 경험해 입지 선정을 위한 이해도를 높이고 객관적이고 공정한 검토를 위해 추진됐다.

아산시는 하루 200t 규모 소각시설을 설치하면서 굴뚝을 활용한 전망대 그린타워와 넓은 부지에 환경과학공원을 조성해 주민친화형 모델로 인정받고 있으며 연간 80만~90만명이 찾는 지역명소로 꼽히고 있다.
또 소각과정에서 발생한 소각열은 건강센터, 곤충원 등 공원 내 시설과 마을에서 운영하는 세탁공장에 공급하고, 인근 산단에 스팀을 판매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천안시 자원회수시설은 하루 570t 규모의 1, 2호기를 운영 중이며 상‧하반기 약 2주간 실시하는 정기 보수기간에도 안정적 대응이 가능하다. 소각열은 주변시설에 자체 열원으로 사용하고, 인근 공장에 스팀으로 판매를 하고 있다.
특히 소각시설과 500여m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수영장·찜질방·헬스장·목욕탕 등 편의시설을 갖춘 한들문화센터를 설치, 시민 접근성과 여가활동을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조성했다.
입지선정 위원들은 현장에서 소각시설과 편의시설을 둘러보고, 입지관련 주민 요구사항과 주변지역 지원, 소각열 활용방안, 수거 이동성을 묻는 등 자원회수시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다.
입지선정위원장인 최재완 교수(광주대)는 “자원회수시설은 도시의 환경적 역량을 강화하는 기반시설인 만큼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최적입지가 선정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지난해 12월1일부터 오는 29일까지 자원회수시설 입지후보지를 재모집하고 있으며 현재 3개소가 접수됐다.
- 광주시, “불법현수막, 안전신문고로 신고하세요”
- 광주시, 자동차 특화 국민대와 손잡고 '인공지능(AI) 모빌리티 실증도시 모델' 구축
- 광주시, “전통시장서 수산물 사면 온누리상품권 환급”
- 광주시상수도사업본부, “광산구 우산동 화훼단지 인근 상수관로공사... 차량 우회하세요”
- 광주시립수목원, '유치원·초등생 계절체험프로그램' 운영
- ‘광주를 빌려드립니다’... 강기정 시장, 창업기업 도심 실증현장을 가다
- 광주시, '도심 복합개발' 일본서 배운다
- 광주상수도사업본부, '차세대 상수도정보시스템' 구축
- 광주시, 구직청년 1500명에 '250만 원씩 지원'
- 광주보건환경연구원, 실내 부유곰팡이 실태조사… 다중이용시설 13곳 권고기준 초과
- 호남 최대 ‘광주역 스타트업 창업밸리’ 가시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