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5년 하반기 학술세미나 개최

거래 절벽과 임대차 불안이 동시에 심화되는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이 시장 구조 전환과 정책적 대응을 본격 논의한다.
(사)한국부동산경영학회(회장 서진형)와 대한부동산학회(회장 김진)는 오는 29일,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부동산 대전환의 시대, 새로운 출발 전략”을 주제로 정기 학술세미나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광운대학교 대학원 부동산법무학과가 주관하며 LH, HUG, 한국부동산원, 인천도시공사 등 공공기관도 참여해 현장성 있는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6·27, 9·7, 10·15 대책은 시장을 안정시키기보다 거래량 급감이라는 역효과를 가져왔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실거주 2년 의무 부과는 갭투자 억제 목적이었으나, 전세 공급 감소—전세가 상승—월세 전환 가속이라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학계는 이를 대출 규제 심화 → 실수요 위축 → 매수심리 붕괴 → 시장 경착륙이라는 위험 시나리오로 진단하고 있다.
임대차 시장 역시 임대차3법, 9년 갱신청구권 논의가 이어지며 서민 부담 확대, 임대인 우위 시장 지속 등이 현실화되고 있다.
세미나는 이춘원 교수(광운대)의 사회로 진행되며, ▲ 비도시지역 대규모 개발사업의 공공기여 산정 연구 – 이지은 교수(대진대) ▲ 한국 주택시장 구조 분석과 주거정책 방향 – 김덕례 박사(주택산업연구원) ▲ 중소형 빌딩 자산관리 특성과 임차인 만족도 영향 – 최영선(광운대 박사과정) ▲ CPTED 조례 의무화와 주거만족도 개선 전략 – 박상순(나사렛대 박사과정) 순으로 발표가 이어진다. 이어 박필(동서울대), 서영천(서원대), 김학환(숭실사이버대) 등 다수 전문가들이 토론에 참여해 정책적·산업적 함의를 논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