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경쟁력 있는 국내 광통신 기술 우주 분야까지 확장… 우주 공간 레이저 통신 분야 국제협력 기대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뉴 스페이스 시대 이끌 초고속 광통신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광원 및 전자광학 기술 지속 확보 예정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고등광기술연구소(소장 고도경)가 지난 26일(월) 스위스 베른대학교에서 ‘우주 광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우주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위성간 통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이번 4자간 업무 협약에는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스위스 베른대학교 우주 연구 및 행성 과학 연구부(Space Research & Planetary Sciences)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미래혁신연구센터 그리고 ▴한화시스템 전자광학연구소가 참여했다.
협약식에는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고도경 소장과 신우진 수석연구원 ▴스위스 베른대학교 우주연구 및 행성과학 연구부 책임자 Nicolas Thomas 교수와 수석엔지니어 Daniele Piazza 박사 ▴KARI 미래혁신연구센터 정문규 책임 ▴한화시스템 전자광학연구소 1팀장 박기영 수석이 참석했으며 우주 레이저통신 분야 연구 협력을 위한 ▴상호 기술 교류 ▴시설지원 ▴인력 교류 및 공동 연구과제 추진 등을 논의했다.
국내 유일의 광학 및 레이저 전문연구소로서 우주 및 국방 분야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고등광기술연구소는 2009년부터 스위스 베른대학교 응용물리연구소(Institute of Applied Physics)와 레이저 및 광학 분야의 연구 협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한화시스템과도 위성간 레이저 통신단말 기술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위성간 레이저통신 및 지상과 위성 간의 레이저 통신 기술 개발을 위한 실증 플랫폼(G-SPACE) 구축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고등광기술연구소는 이번 협약으로 협력기관들과 기존 연구 분야를 뛰어넘어 항공 우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우주 및 인공위성 분야로 활용성을 넓힌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도경 소장은 “우리 연구소는 이번 협약을 통해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를 이끌어 갈 초고속 광통신 기술 개발에 필요한 광원 및 전자광학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며 “또한 24년 5월 예정인 항공우주청 개청을 시작으로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 ICT 분야의 광통신 기술을 우주 분야에까지 도전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GIST, 인공지능 활용 미래교육 활짝 열어… ‘AI 및 챗GPT 교육 챌린지’ 개최
- GIST 이재석 명예교수, ‘나의 교육과 연구 그리고 지역사회 봉사’ 에세이집 출간
- GIST, '대학원생 해외파견연구' 전폭 지원한다
- GIST 송영민 교수, 해림 광자공학상 수상
- GIST, '2024학년도 입학식' 개최… 출발선에 선 "2세대 GIST주인공" 505명
- [인사] 광주과학기술원(GIST)
- GIST, 북극 순록의 눈 본뜬 '나노 광필터' 개발… 햇빛에도 색상 왜곡 없어 "자율주행차 등 활용" 가능
- GIST, '100와트급 수전해 시작품' 개발… 암모니아수 활용 "친환경 저전력 그린수소" 생산
-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주도 ‘뉴스페이스 시대’ R&D 본격화
- GIST 기술경영아카데미(GTMBA), '제14기 입학식' 5일(화) 개최
- GIST 학부생들, ‘2024 KPMG 아이디어톤 수상’... 생성형 AI 활용한 기업용 문서 협업 서비스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