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작물을 언제 심을까? 주제…20회 과정 운영
시민공동체 12곳, 80여 명 참여…퇴비 살포 등 농작업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지난 6일 도시텃밭정원에서 ‘2024년 기후농부학교’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했다.

이날 프로그램에는 광주서구가족센터 등 시민 공동체 12개소, 80여 명이 참여해 ‘어떤 작물을 언제 심을까?’라는 주제로 교육을 받고 퇴비 살포 등 농작업을 실시했다.
기후농부학교는 공익형 공동체 텃밭 조성과 기후위기에 대응한 도시농부 양성을 목적으로 2022년부터 매년 4~12월 20회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공동체들은 매월 격주 토요일 도시텃밭정원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의무적으로 참여해 이론교육과 실습을 하고 텃밭정원을 가꾸는 공익활동을 한다.
도시텃밭정원은 체험, 교육, 휴식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도시농업공간으로 도시농업문화 확산을 위해 2022년 유덕동 조성됐다. 텃밭정원, 공동체 텃밭, 토종종자원 등으로 구성됐다.
광주시는 도시농업 활성화와 가치 확산을 위해 ▲기후농부학교 ▲도시농부 어울림 한마당 ▲농업 인문학 시민특강 ▲찾아가는 도시농업 컨설팅 등을 시행하고 있다. 또 자치구와 함께 ▲공영 도시농업 농장(10개소) 운영 ▲어린이 텃밭 조성 ▲상자텃밭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남택송 농업동물정책과장은 “기후농부학교는 시민단체가 하나의 두레가 돼 텃밭에서 다양한 주제로 교육·실습하는 프로그램이다”며 “기후농부학교 참여자들이 도시농업의 가치를 알리고 도시와 농촌을 잇는 교두보가 돼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광주 동구, 겨울잠 끝낸 ‘5·18민주광장 음악분수’ 기지개 켜
- 광주시, ‘광주뷰티존’ 문 열었다
- 광주 남구, 진월동 스포츠 타운에 ‘수변공원’ 조성
- 광주 광산구, ‘해찰과 성찰 사이’ 이영경 그림책 작가 전시 개최
- 광주천변 '현장 점검 나선 강기정 시장'… 양 방향 보행환경 살펴
- 광주시, 시민참여예산 제안사업... 5월 10일까지 공모
- '광주대표맛집' 10곳 밀키트로 만난다
- 인공지능 인재양성 중심 ‘광주’... AI사관학교에 전국 청년들 북적
- 광주시, '외국인주민 안정 정착' 돕는다
- 광주 아파트, '자동심장충격기' 관리 부실
- 광주시, ‘육아중심 특화형 사회주택’ 개발·공급
- 광주시-세르비아, '문화·산업 도시교류' 논의
- 광주 AI영재고, 첨단3지구 AI집적단지 인근에 설립
- 광주시, '광주형일자리(GGM) 주거지원비' 인상
김홍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