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함평군 농업기술센터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올바른 볍씨 소독을 위한 현장 기술지원에 나섰다.
지난 29일 군에 따르면 올해 벼 보급종은 소독이 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키다리병, 도열병, 깨씨무늬병 등 병해충 방제를 위해 볍씨 소독이 필수적이다.

우선, 종자 소독에 앞서 ‘소금물 가리기’를 실시해 충실한 볍씨를 골라내야 한다. 메벼(물 20ℓ, 소금 4.24㎏)와 찰벼(물 20ℓ, 소금 1.36㎏)를 소금물에 3~10분 이내로 담가 가라앉은 볍씨만 헹궈내 사용한다. 단, 종자의 정선 상태가 좋으면 이 과정은 생략할 수 있다.
벼 종자 소독 방법은 온탕 소독과 약제 침지소독이 일반적이다.
온탕소독은 볍씨를 종자 망에 담아 20㎏당 60℃ 물 200ℓ에 10분간 담근 후 냉수 처리한다. 단, 시간이 경과하면 종자가 손상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약제 침지소독은 종자 20㎏당 약액 40ℓ를 기준으로 30℃ 물에 24~48시간 담가야 소독 효과가 높다. 소독한 종자는 볍씨담그기, 싹틔우기 실시 후 파종하면 된다.
함평의 못자리 설치 시기는 4월 말에서 5월 상순이 적기이며, 튼튼한 묘를 기르기 위해 육묘장 내 온도를 낮에는 25℃, 밤에는 15℃ 전후로 유지해야 한다.
문정모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한 해 농사의 절반이 종자소독과 건전 육묘 관리에 있다”며 “앞으로도 벼 육묘 관리 현장 기술지원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 함평나비대축제'에서 사진 찍고 선물 받아가세요!
- 함평군, ‘황금박쥐상 품은 함평추억공작소’ 이전 신축 개관식 성료
- “나비 찾아 GO GO!” 제26회 함평나비대축제 개막
- 함평군, 베트남 람동성 대표단 방문… 글로벌 도약 ‘시동’
- 함평 나비대축제, 바나나에 반한 아이들
- 함평군, ‘내가 우리동네 걷기왕’ 대회 성료
- 함평군, 부산 벡스코 ‘제4회 대한민국 대표 축제박람회’서 제26회 함평나비대축제 개최 알려
- 함평군치유농업연구회, 함평나비대축제장 내 치유농업 홍보 부스 운영
- 함평군, 바나나 따고 물고기 먹이주고… “나비대축제, 우리들 세상”
- 나비판타지아 퍼레이드쇼 보러 함평가자!
김홍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