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 비공개 의혹 해소위해 13일 도 누리집 등에 게시
양 시와 양 대학에 전향적 자세로 공동 협력·소통 당부
전라남도는 13일 지난 2021년 추진한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및 부속병원 설립·운영 방안 연구’ 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용역 결과는 전남도 누리집과 정책연구관리시스템(프리즘)에 게시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2021년 용역은 문재인 정부 때 ‘의대 없는 지역에 의대 신설 추진’ 약속에 따라 전남도 의대 신설 당위성을 마련해 정부 건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됐다.
용역 당시 증원 규모는 400명으로, 현재 2천 명 증원과 완전히 다른 여건에서 마련된 것이다. 특정 지역 대상이 아닌 도내 전체를 위한 입학정원 100명의 의과대학과 500병상 이상의 부속병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남도는 5월 중 정부에서 확정하는 대입전형시행계획에 ‘2026학년도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신설 정원 200명’이 배정돼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목포대와 순천대, 양 대학, 목포시와 순천시, 양 시의 공동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 2021년 용역 공개를 결정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일부 지역의 용역공개 요청에도 비공개한 사유에 대해“그때의 용역은 전남에 의대 신설 자체를 위한 것이었고, 지금 추진하는 용역은 의대를 어디로 가게 할지 정하는 것으로, 방향과 목표가 달라 그때의 자료를 현재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각 지역에서 용역 결과의 전체적 틀을 보지 않고, 지역의 유불리에 맞춰 편향적으로 해석해 활용할 경우, 지역 갈등을 키울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비공개했다”고 설명했다.
용역 공개를 결정한 이유에 대해선 “일부에서 용역에 의혹을 제기하고, 공개를 조건으로 전남도가 정부 요청에 따라 추진 중인 ‘공모에 의한 추천 대학 선정 용역’ 참여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고, 여러 전문가와 언론에서도 의혹 해소를 위해 공개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말했다.
이어 “용역 공개를 계기로 정부가 요청한 전남도 추천 절차가 원활히 진행돼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설립이 실현되도록 대학과 지역에서 힘과 지혜를 모아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 전남도, "정액제에서 호봉제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임금체계' 개선
- 전남도, '공정무역 긍정적 영향 홍보·가치 소비 실천' 앞장
- 전남도, '우수·모두애(愛) 마을기업' 4곳 전국 최다
- 전남도, 지방소멸 대응 ‘지역활력타운’ 2곳 유치
- 전남도, 연중무휴 ‘공공심야약국’ 도민 건강지킴이 톡톡
- 목포상공회의소, ‘박홍률 목포시장 초청 간담회’ 개최
- 전남도, 자랑스러운 향토기업 발굴 육성
- 전남도립대, 드론교육 특성화 대학 자리매김
- 전남도-범도민추진위, 상생·화합으로 국립의대 설립 다짐
- '제18회 전국장애학생체전' 14일 목포서 개막
- 김영록 전남지사, "불교 화쟁정신 되살려 전남 행복시대 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