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자치구 보건소·감염병관리지원단과 점검 회의 개최
대응인력 체계 정비…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팀 재점검
먹는 치료제 수급상황 등 시민 불편사항 최소화 노력
광주지역 코로나19 입원환자가 빠르게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광주시가 감염취약시설내 집단 발병 예방과 고위험군 보호를 위한 종합대책 마련에 나섰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16일 자치구 보건소, 감염병관리지원단과 함께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대응상황 점검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6주간의 광주지역 코로나19 재확산 추이를 공유하고 ▲시‧자치구별 감염병 대응인력 등 체계 정비 ▲요양시설 등 지역 감염취약시설 전담대응팀 재점검 및 관리 강화방안 논의 ▲먹는 치료제 수급관리상황 점검 ▲정부의 ‘코로나19 감염예방 수칙’ 지속 홍보방안 등을 논의했다.
광주시는 우선 코로나19가 재유행 조짐을 보임에 따라 기관별 감염병 대응체계를 비롯해 감염취약시설 집단발생(10명 이상)때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 구축한 전담대응팀(시‧구 32개팀 92명)과 대응절차를 재점검했다.
또 자치구별 감염병관리 부서와 감염취약시설 담당부서가 협력해 집단발생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시설별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집단발생 후에는 현장점검 대조표를 활용, 발생현황 파악과 점검관리를 철저히 해 고위험군 보호에 더욱 힘쓰기로 했다.
광주시는 이와 함께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수급과 관련해 지역 내 추가수요에 대해서는 보건소별 안전물량 전환배치로 신속히 대응하고, 의‧약사회, 보건소-조제기관 간 소통을 더욱 강화하는 등 치료제 수급에 따른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광주지역 200병상 병원급 표본감시기관(5개소)의 8월 2주 입원환자는 55명으로, 4주전 3명에 비해 18배 늘었다.
입원환자 가운데 65세 이상은 69.1%(38명)로, 7월 4주부터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밖에 19~49세 16.3%(9명), 50~64세 12.7%(7명) 순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는 코로나19 증가세에 따라 시민들이 불안해 하지 않도록 상황별 ‘코로나19 감염예방 수칙’을 지속해 홍보하기로 했다.
해당 수칙은 손씻기·환기·기침예절 등 일상생활 속 예방수칙을 비롯해 코로나19에 감염되거나 60세 이상‧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요양시설 등 감염취약시설에서 지켜야 할 수칙 등이며 기관별 누리집, 동별 게시판, 구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지속 홍보할 예정이다.
손옥수 복지건강국장은 “코로나19 재유행 우려가 높아진 만큼 광주시는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감염취약시설 발생감시와 관리를 지속해 강화할 것”이라며 “시민들은 불안해하지 말고 코로나19 감염 예방수칙을 꼭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 “청렴도 높여라” 광주시, 달라진 청렴시책 추진
- 광주시, 민·관·군·경 방위태세 확립... ‘2024년 을지연습’ 19∼22일 실시
- 강기정 광주시장, “AI×문화 중심도시로 대한민국과 세계에 기여”
- 광주시, '외국인근로자 산업안전체험 교육' 실시
- 광주시 CCTV통합관제센터, "폭염에 쓰러진 어르신... CCTV가 구했다"
- 광주-부산, 비엔날레로 한데 뭉치다
- 광주시-광주·부산 민주운동 단체들과 민주정신 헌법전문수록 공동노력 결의
- 우치동물원-24시노아동물메디컬센터, 동물원 동물 의료지원 업무협약 체결
- 광주소방, 폭염에 '에어컨실외기' 화재 주의
- 강기정, "'김대중’ 큰 거울 앞에 서서... 국민보다 늘 반발 앞서 걸었던 대통령 닮고 싶었다"
- 코로나 재확산 막는다!... 광주도시철도 방역 강화
- 광주시, “일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하세요”
- 광주시, '외국인 유학생 장기자랑대회' 연다
- 광주시,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주민설명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