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은 람다와 ‘AI 클라우드 공동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안정적인 GPU 공급을 바탕으로 한 GPUaaS 사업 확대, 람다의 한국 리전(Region) 설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략적 협업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SKT와 람다는 오는 12월 기존 SK브로드밴드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GPU ‘H100’을 배치한다. SK브로드밴드는 데이터센터 운영 노하우를 살려 고밀도 GPU 서버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 코로케이션 환경을 제공한다. GPU 서버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산 데이터센터의 랙 당 전력밀도를 국내 최고 수준인 44kW로 구현할 계획이다. 이는 국내 데이터센터 랙 당 평균 전력밀도인 4.8kW의 약 9배에 달한다. 또한 오는 12월 AI 데이터센터 오픈에 따라 람다의 한국 리전도 개소한다. 람다 GPU 기반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내 기업들의 데이터는 한국 리전에 저장된다.
SKT는 람다 GPU 자원을 기반으로 구독형 AI 클라우드 서비스인 ‘GPUaaS(GPU-as-a-Service)’도 오는 12월 출시할 계획이다. ‘GPUaaS’는 기업고객이 AI 서비스 개발이나 활용에 필요한 GPU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를 통해 가상 환경에서 자원을 빌려 쓰는 서비스다. 공급이 부족하고 가격이 높은 GPU를 직접 구매하기 부담스러운 대기업이나 중소·스타트업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에 사용할 수 있다. SKT는 오는 12월 ‘GPUaaS’ 출시와 함께 GPU 교체 보상 프로그램,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컨설팅, AI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등 국내 스타트업, 중견 · 중소기업 대상의 다양한 프로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스티븐 발라반(Stephen Balaban) 람다 CEO 겸 창업자는 “람다와 SKT는 GPU 컴퓨팅 자원을 전기처럼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환경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며, “AI 혁신 속도가 빠른 한국에서 AI 클라우드 영역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SKT와 협력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경덕 SKT 엔터프라이즈 사업부장은 ”람다와의 전략적 협력으로 GPU를 안정적으로 확보한 것은 국내 GPU 공급 확대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국내 최대 규모의 GPU Farm을 구축해 국가 AI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SK텔레콤, ‘PASS(패스) 스팸필터링’ 서비스 선보여
- SKT ‘엑스칼리버’, 동남아 3개국에서 엑스칼리버 상용화 계약 체결
- SKT, ‘파리의 감동’ 전한 Team SK 환영식 개최
- SK, 이천포럼에서 AI 생태계 확장 위한 해법 모색 나서
- SKT, AI 로봇 농구 대회 개최
- SKT, AI 기능 더한 ‘갤럭시 퀀텀5’ 사전 예약 돌입
- SKT, ‘AI콜 활용 금융범죄 예방 교육’ 추진
- SKT, 추석 연휴 특별 소통대책 발표
- SKT, ‘도파민 중독’ 경각심 주는 디지털 캠페인 런칭
- SKT, 홍대 T팩토리서 iPhone 16 출시 기념행사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