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5~6C 내동리 쌍무덤과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묶어 등록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유치 등 민선8기 영암군 ‘마한의 심장’ 정책 결실
고대 마한 유적인 영암군 내동리 쌍무덤과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이, 7일 ‘영암시종고분군’의 이름으로 국가유산청 국가지정유산 사적으로 지정됐다.

이번 지정은 영암군에서는 1989년 ‘구림리 요지’ 사적 지정 이후 이뤄진 35년 만의 성과. 지역사회는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을, 고대 마한을 포함한 지역 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맞고 있다.
영암시종고분군은 5C 중·후반~6C 초에 조성된 유적으로, 전통 옹관묘에서 대형 방형 분구 석곽묘·석실묘로 변화하는 마한의 매장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고대의 토목 기술과 공동체 조직 등의 특성을 엿볼 수 있는 중요 고고학 자료다.
아울러 백제·가야·중국·왜 등의 외래문화를 수용한 마한 세력의 뚜렷한 정체성을 담고 있는 유적으로도 여겨지고 있다.

영암시종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도 금동관 세움장식, 영산강 유역 토기 등 다양하다. 특히 청자잔, 동남아산 유리구슬, 원통형 토기, 동물형 토제품 등 외래에서 전래된 뒤 현지화한 유물은 당시의 문화교류사를 알려주는 귀한 자료다.
민선8기 영암군은 ‘마한의 심장, 영암’을 군정 주요 비전으로 삼아, 문화유산팀을 신설하고, 학술조사를 진행하는 등 마한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활용 정책을 추진해 왔다.
구체적으로 영암군의 시종고분군의 사적 지정 노력은 2009년 장동 방대형 고분 시굴조사로 시작됐다.
이 조사는 2018년 내동리 쌍무덤 정밀조사를 포함한 15년의 학술조사가 더해지며 2022년 사적 지정 신청으로 이어졌다.

내동리 쌍무덤 사적 지정을 신청한 영암군은, 2022년 국가유산위원회의 ‘2009년부터 조사된 장동 방대형 고분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을 받아들여 두 유적의 가치를 통합 정리해 사적 신청에 나섰다.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은, 2023년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유치와 함께 영암군의 마한 역사문화 정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영암군은 시종고분군의 체계적 보존·관리, 전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역사문화 관광자원화를 추진하고, 중장기 과제로 전라남도와 협력해 마한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까지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우승희 영암군수는 “영암시종고분군 사적 지정은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영암 유치와 함께 ‘마한의 심장, 영암’을 국가가 확인해 준 쾌거다. 전라남도조례 제정-문화유산팀 신설-학술조사-사적 지정으로 이어지는 지역사회의 전략적 노력이 맺은 빛나는 결실이다. 두 성과를 바탕으로 마한의 심장 영암을 알리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 영암군, 한전MCS(주) 등과 ‘취약계층 지원 협력기관 복지자원 협약’ 체결
- [영암군 수도사업소 기획보도] 영암 수돗물, 이제는 안심입니다
- 영암군보건소, 보건복지부 '통합건강증진사업' 우수기관
- 영암군, ‘군민 안전이 최우선’폭염 총력 대응 나서
- 영암군, 온열질환 감시체계 돌입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영암군, 산림청에 대봉감 낙과 피해 재해 인정 요청
- 해군 3함대 군무원들, 영암군 '배수로 지킴이' 캠페인
- 영암군 독천낙지거리, 남도음식거리 공모 선정
- 영암 화수마을, 지방시대위 '생활여건 개조사업' 공모 선정
- 영암몰, 한우농가 氣 살리기 25% 할인전 개최
- 영암군, 발생 114일 만에 '구제역 종식'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