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축물‧선박‧항공기 대상…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주택 및 건축물 등에 대한 7월 정기분 재산세(지역자원시설세·지방교육세 포함) 70만5967건, 1607억 원을 부과했다.
자치구별 부과액은 동구 140억 원, 서구 380억 원, 남구 209억 원, 북구 387억 원, 광산구 491억 원이다. 부과 건수는 지난해 대비 1만5983건(2.32%), 부과액은 31억 원(2.02%) 각각 증가했다.

광주시는 이번 재산세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개별주택가격 상승(1.58%) ▲공동주택 신축에 따른 신규 부과대상 증가 ▲건물 신축 및 가격 기준액 상승 등을 꼽았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재산의 소유자에게 7월과 9월에 부과되는 세목으로, 이번 7월 재산세 과세대상은 주택과 건축물, 선박, 항공기다.
납부기간은 16일부터 오는 31일까지이며, 주택분의 경우 재산세 본세가 20만 원 이상이면 7월과 9월 연 세액의 2분의 1씩 나눠 부과된다.
7월에는 ▲주택(2분의1) ▲건축물 ▲항공기 ▲선박이 대상이고, 9월에는 ▲나머지 주택(2분의1) ▲토지에 대해 과세된다.
재산세는 전국 모든 금융기관에서 직접 납부할 수 있고, 전자납부 또는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 등을 통해 납부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납부 방법으로는 ‘스마트위택스’(지방세 신고⸱납부⸱조회 시스템)앱이나 ARS를 이용해 납부할 수 있으며 지방세입계좌 이체로 납부하면 거래은행 업무시간 외에도 이체수수료 없이 납부할 수 있다.
재산세 관련 문의는 관할 자치구 세무부서로 하면 된다.
한편 자동차세‧주민세(개인분)‧재산세‧등록면허세에 대해 전자송달 또는 자동납부를 신청하면 신청일 다음달부터 고지서 1장당 500원의 세액공제가 이뤄진다. 전자송달과 자동납부까지 함께 신청하면 1000원의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김대정 세정과장은 “재산세는 지역 발전과 복지 등에 사용되는 소중한 재원”이라며 “기한 내 납부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강기정 시장, “이재명 정부와 함께 광주야 날자”
- '광주세계양궁대회' 성공 개최 예열 시작
- 양파 가격 하락… 광주시·광주농협본부, 소비 촉진 동참
- 도시품격 높이는 최고권위 ‘광주시 건축상’ 공모
- 광주시, 전국 최초 '채무조정비용' 지원
- 광주문학관, 지역 문학자료 25일까지 공개 수집
- 광주시, ‘어린이 건축·도시 그림그리기 대회’ 연다
- [포토]강기정 시장, AI총괄정책자문관·빅데이터총괄정책자문관 위촉장 수여
- 광주시,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단가 5% 인상
- 5·18로 ‘연결’되는 광주청년들, 오월로 만난다
- 광주시립미술관, 19일 야외물놀이장 첫 개장
- 광주 어등산관광단지 토지비 3차 중도금 납부
- 광주시, 청렴 강화… '권익위 부패방지국장 초청 특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