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자체 검증에서도 오류 다수 확인… “전남의 정체성 담기엔 부족, 새롭게 서술해야”
전라남도의회 신민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순천6)은 지난 7월 15일 문화융성국 업무보고에서 『전라도천년사』 중 근대편 4권에 대해 “전면 폐기하고 새롭게 서술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신 의원은 앞서 작년 11월에도 『전라도천년사』의 근대편에 미주, 일본, 중국 등지에서 활약한 전남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이 누락되었다고 지적하며 폐기를 주장한 바 있다.

이번 업무보고에서 신 의원은 전라도가 별도로 구성한 검증팀의 결과를 공개하며, “책 전반에 걸쳐 사실관계 오류와 오타가 다수 발견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남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빛나는 활약상이 대부분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국가보훈처 공훈록에 등재된 전남 출신 인물만 분석하더라도 국내는 물론 미주, 일본, 심지어 하얼빈 등지에서 활약한 전남 출신의 독립운동 사실을 서술에서 빠뜨림으로써 『전라도천년사』가 전남 지역 정체성을 담는 데 실패했음을 비판하며, 근대 4권은 반드시 폐기하고 재서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신민호 의원의 문제 제기로 전라남도가 별도 검증팀을 구성하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전시기의 내용을 재검토한 결과 적지 않은 오류들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전라남도 관계자는 검증자료를 토대로 오류를 바로잡고, 논란이 새롭게 제기된 근대 4권은 전남의 정체성과 관련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당연히 새롭게 서술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라도천년사』는 전라도 정명(定名) 1천 년을 기념하여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광주·전남·전북 3개 시도가 8억 원씩 총 2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편찬된 방대한 역사서이다.
하지만 일본서기 자료 인용 문제 등이 논란을 빚으며 배포가 중단된 상태인데, 최근 전북도와 광주광역시가 전남도의 방침과 달리 고대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선배포’를 추진하여 논란이 된 바 있다.
- 전경선 도의원, 도민 역사 담을 전남기록원... 부실 용역 논란 증폭
- 김태균 의장, “청년 창업가들 전남 미래이자 대한민국 희망” 성공 응원
- 김정희 교육위원장, '생물학자, 최재천 교수를 만나다' 특강에서 자연과 공존하는 교육 생태계 논의
- “지방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 전남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 대학 현장 목소리 청취
- 전서현 도의원, “전남 이민정책, 중앙정책 변화에 선제 대응해야”
- 윤명희 도의원, 남해선 코레일 축제열차 특별 관광상품 개발·운영 주문
- "농업은 협상의 카드가 아니다" 전라남도의회, 한미 통상협상, 농업 분야 희생 중단 촉구 성명 발표
- 김태균 의장, “여성경제인들 힘찬 도약 위한 정책 발굴에 최선을...”
- 류기준 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 “2025 광주전남 여성농민 한마당대회” 참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