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은 학교 현장의 악성 특이 민원 대응과 관련해 교육감 명의의 고발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 교육활동 침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지역교권보호위원회 심의를 거쳐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제26조에 따라 서면사과 및 재발 방지 서약, 특별교육 이수, 심리치료 등의 조치를 내리고, 이행하지 않을 경우,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특히 상해, 폭행, 협박, 명예훼손, 기물 손괴 등 형사처벌 대상에 해당하는 교육활동 침해행위에 대해서는 교육청 차원의 고발을 할 수 있다. 실제 지난 2023년에는 교육감 명의로 상해죄 및 업무방해죄 관련 2건을 수사기관에 고발한 바 있다.
시교육청은 이 같은 선례를 토대로 앞으로도 악성 특이 민원에 대한 피해 교원의 요청과 고발 민원 요건에 해당 될 경우 절차에 따라 교육감 명의 고발을 신속히 진행하는 등 엄정히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악의적이고 반복적인 교육활동 침해행위에 대해서는 그간의 고발 사례와 같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대응해 교원의 정당한 교육활동을 보호하고, 학교가 교육기관으로서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광주시교육청-전남대, '청렴 인재 양성' 함께 나선다
- 광주시교육청, 2026학년도 수능 1만7천731명 지원
- 광주시교육청, 공립 유치원·초등·특수교사 채용 공고
- 광주시교육청, 내년도 중학교 학교군·중학구 확정
- “미래 체육 인재 키운다”... 광주시교육청, 체육 진로·진학 한마당
- 광주시, 시민참여예산 사업.. "시민들이 결정"
- 광주시, 추석대비 민관합동 '건설공사장 안전점검' 실시
- 광주시교육청, '수능 영역별 마무리 학습법 영상' 제작
- 광주시교육청, '충청·호남권 유보통합 워킹그룹' 운영
- 광주시교육청, 전국 장애학생 e페스티벌 '성과'
- 광주시교육청, '2025 사랑의 헌혈 운동' 동참
- 광주시교육청, '2025년 제2회 검정고시 합격증서 수여식' 개최
- 광주 서구, 우리동네 연합운동회 큰 호응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