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열·오한 등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 진료 강조
12일 전라남도는 해수 온도가 여전히 높고, 최근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발생하는 등 감염 위험이 지속되는 만큼 어패류 익혀먹기 등 감염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비브리오패혈증(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세균 감염)은 주로 5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한다. 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 먹을 경우, 피부에 난 상처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경우 감염된다.
8월 말 현재 환자 발생은 전국 총 17명이며 이중 4명이 사망했다. 전남은 2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는 없다. ※ ‘24년 12월 말 기준: 전국 49명(사망 18명), 전남 3명(사망 1명)

감염 시 1~2일 정도 짧은 잠복기를 거쳐 발열, 오한,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증상 발생 24시간 내 하지 부종, 발진, 수포 등 피부병변이 생기고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된다.
특히 간 질환자,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이 감염될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돼 치사율이 50% 내외로 높아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전남도는 지난 5월부터 홍보, 예방 교육, 지도점검을 강화했으며 고위험군 대상 방문 건강 관리 사업과 연계한 집중 관리 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나만석 전남도 감염병관리과장은 “생선이나 어패류 섭취 시 반드시 익혀 먹고, 피부에 상처가 있을 경우 바닷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전남도, 바르게살기운동 전국회원대회서 '고향사랑 실천 홍보 활동' 펼쳐
- 전남도, 광복 80주년 기념... 도민과 다큐영화 ‘독립군’ 관람
- 전남도, 9월의 농촌체험휴양마을... '광양 섬진강끝들마을' 선정
- 전남도, "올 가을 세계가 주목하는 '스포츠 무대' 된다"
- 전남도 종자관리소, 맥류 원종 전량 종자검사 '합격'... "안정성.신뢰성 입증"
- 김영록 전남지사, 아름다운 동행 봉사단과 '이웃 사랑 실천'
- 전남도, 한의난임사업 성과대회 '최우수기관 표창' 수상
- 전남도-광주전남시도민회, 고향사랑·메가이벤트 성공 다짐
- 전남도, 서울 아프리카페스티벌서 ‘김’ 세계화 홍보
- 전남 숲길에도 ‘주소’ 생겼다
- 전남형 마이크로그리드, 아프리카·중앙아시아로 확산
- 2025년 명량대첩축제, 오는 19일부터 21일까지... 해남·진도서
- 2026여수세계섬박람회 입장권 사전 판매... 올해 말까지 최대 40% 할인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