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 석학과 기업인 참여

분산, 직류, 디지털 AI 에너지 대전환 논의

윤병태 시장 “에너지 담론의 장 마련 기대”

전라남도 나주시가 에너지와 인공지능(AI) 융합을 주제로 한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의 막을 열고 세계적 석학 및 기업인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전략을 모색한다.

나주시(시장 윤병태)는 17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에서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 개막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윤병태 시장이 글로벌 에너지포럼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 제공-나주시)
윤병태 시장이 글로벌 에너지포럼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 제공-나주시)

이번 포럼은 오는 18일까지 진행하며 분산, 직류, 디지털 AI를 핵심 의제로 삼아 나주가 글로벌 에너지 허브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DDD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에너지와 AI를 결합한 혁신 전략과 현실적인 탄소중립 로드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했다.

‘DDD’는 분산(Distributed), 직류(DC), 디지털 AI(Digital AI)를 의미하며 미래 전력망 구조와 분산형 에너지 시장 설계 등 핵심 의제를 담고 있다.

‘나주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가 17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개막했다.(사진 제공-나주시)
‘나주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가 17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 개막했다.(사진 제공-나주시)

개막식에서 윤병태 나주시장은 “AI 시대의 전력망과 에너지 시장 설계 그리고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놓고 세계 각국의 지혜를 모으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며 “나주가 글로벌 에너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에는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를 비롯해 김종권 켄텍 교수, 김성철 한전 KDN 연구원장, 이효섭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부사장, 강명구 I-DEA 사무총장, 손경종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 부회장, 마기평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부장 등 국내외 석학들이 대거 참여했다.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 제공-나주시)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 제공-나주시)

또한 한전KDN, 전남에너지산업협회, 광주은행 등 기관과 기업도 함께해 학계와 산업계를 아우르는 협력의 장을 열었다.

특히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보기 드문 수준 높은 글로벌 포럼으로 사전 신청자만 2000명을 넘기며 국내외 큰 관심을 입증했다.

개막식 기조연설에 나선 노보셀로프 교수는 그래핀 등 차세대 신소재 연구가 AI 기반 맞춤형 소재 설계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를 포함한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을 강조해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나주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 개막 기념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사진 제공-나주시)
‘나주 글로벌 에너지포럼 2025’ 개막 기념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사진 제공-나주시)

윤병태 시장은 “탄소 중립을 극복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 그리고 엄청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AI시대에 나주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공대에서 관련 사항들을 논의하게 된 것을 참으로 뜻깊게 생각한다”며 “국제 에너지 정책들과 관련한 해답과 지혜를 만들어 내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럼은 18일까지 이어지며 AI for Energy 세션, 다낭시-에너지산업협회 업무협약, 270만 구독자를 보유한 과학 커뮤니케이션 채널 ‘과학을 보다’의 시민특강 등이 진행된다.

마지막 날에는 Business & Investment 세션과 Energy for AI 세션을 통해 에너지와 AI 융합 시대의 미래 비전과 실행 전략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