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분야로 확대해 국내 생체인식 기술 경쟁력 강화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상중, 이하 KISA)은 2025년 11월부터 생체인식시스템 성능시험·인증 제도에 ‘장정맥(손바닥 정맥)’을 추가해, 평가 분야를 기존 5개에서 총 6개*로 확대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 평가 분야: 지문인식, 얼굴인식, 손등정맥인식, 지정맥인식, 홍채인식, 장정맥인식(신규)
생체인식시스템 성능시험·인증 제도는 2006년부터 운영돼 온 국내 최초의 생체인식 알고리즘 평가 제도로, 국내 생체인식 기술의 신뢰도 제고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해 왔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일본인터넷정보센터(JPNIC), 아태지역 인터넷주소자원의 안정적 운영 위해 맞손
- KISA, ‘2025년 하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참여기업 모집
- KISA, ‘2025 정보 통신 기술(ICT)·인공지능(AI) 분쟁조정 경연대회’ 신청 접수
- KISA,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로 무장한 미래 개발자... 경진대회에서 만난다!
- KISA-나이프 아랍 안보과학대학교, 사이버보안 및 인공지능(AI) 분야 업무협약 체결
- 한국인터넷진흥원-중국인터넷협회, 개인정보 보호 협력 강화... 안전한 디지털 미래 구축 나서
최근 생체인식 기술이 단일 생체정보에서 복합 생체정보를 결합 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접촉식에서 비접촉식 인증으로 전환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러한 기술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험·인증 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개편해 오고 있다.
장정맥 인식은 손바닥 정맥 패턴을 활용한 비접촉식 생체인식 기술로, 위·변조가 어렵고 정확도가 높아 금융권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는 장정맥 분야 성능 평가 기준과 제도가 없어 기업이 해외 인증에 의존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지만, 이번 분야 확대를 통해 국내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이번 장정맥 분야 추가를 계기로 국내 생체인식 기업은 보다 다양한 기술 영역에서 성능시험과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돼, 자사 기술의 신뢰도와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앞으로도 산업계 요구와 기술 트렌드를 반영해 시험·인증 제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 오진영 정보보호산업본부장은 “생체인식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다양화되는 시장 상황에 맞춰 장정맥 분야를 새롭게 추가했다”며 “앞으로도 산업계 수요를 적극 반영해 국내 생체인식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생체인식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일본인터넷정보센터(JPNIC), 아태지역 인터넷주소자원의 안정적 운영 위해 맞손
- KISA, ‘2025년 하반기 사이버 위기대응 모의훈련’ 참여기업 모집
- KISA, ‘2025 정보 통신 기술(ICT)·인공지능(AI) 분쟁조정 경연대회’ 신청 접수
- KISA, 보안 내재화(Security by Design)로 무장한 미래 개발자... 경진대회에서 만난다!
- KISA-나이프 아랍 안보과학대학교, 사이버보안 및 인공지능(AI) 분야 업무협약 체결
- 한국인터넷진흥원-중국인터넷협회, 개인정보 보호 협력 강화... 안전한 디지털 미래 구축 나서
- 한국인터넷진흥원, ‘보안 취약점 클리닝 서비스’시범 운영
- 한국인터넷진흥원-고려대학교, 정보 통신 기술(ICT) · 인공지능(AI) 분쟁 해결 위해 맞손
- 한국인터넷진흥원, ‘2025 정보 통신 기술(ICT)·인공지능(AI) 분쟁조정 경연대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