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사업본부, 인구감소·수요위축 등 복합요인 고려한 대책 시급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의 재정건전성이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광역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정다은 의원(더불어민주당·북구2)은 11월 10일 상수도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상수도 요금 인상만으로는 구조적 적자를 해소하기 어렵다”며, 인구감소와 수요 위축, 체납 증가 등 복합적 요인을 반영한 근본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상수도사업본부의 부채비율은 2021년 1.18%에서 2024년 1.65%로 꾸준히 상승했으며, 영업이익은 2021년 35억 원 흑자에서 2022년 -108억8천만 원, 2023년 -329억9천만 원, 2024년 -227억4천만 원으로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요금 현실화율도 2021년 88.54%에서 2024년 71.35%로 하락했고, 영업비용은 같은 기간 1,066억 원에서 1,293억 원으로 약 21% 증가하며 재정 부담이 커졌다.
또 체납액(영업미수금)은 2021년 13억3천만 원에서 2024년 15억7천만 원으로 증가했으며, 30만 원 이상 고액체납액도 같은 기간 4억9천만 원에서 7억5천만 원으로 증가했다. 2025년 9월 기준으로도 고액체납액이 약 5억2천만 원에 달해, 여전히 높은 수준의 체납을 유지하고 있다.
상수도사업본부는 2024년 12월부터 2027년까지 4년 동안 매년 약 9%씩 단계적으로 요금을 인상할 계획이다.
상수도사업본부 측은 “2023년 대비 2027년까지 누적 급수수익 619억 원 증가를 기대했지만, 지속적인 인구 감소 및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예상보다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다은 의원은 “수요 위축과 체납 증가, 비용 불균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재정 악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상수도사업본부는 단순한 요금 인상보다 체납관리 강화와 경영혁신, 인구감소 대응 전략을 병행해 ‘깨끗한 물, 안정된 요금’을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 광주시, 국가철도 ‘광주 신산업선’ 정책토론회 연다
- 광주메디뷰티산업전, 지역기업 잠재력 확인
- 농협광주본부, ‘가래떡데이 아침밥먹기 캠페인’ 펼쳐... “건강 응원”
- 광주 동구, ‘‘취향을 찾는 감각 여행’… 동명커피산책 4만여 명 발길
- 광주 일부 학원, 초등생 ‘학교 대신’ 등원… '공교육 역할 대체' 논란
- 광주 남구, 수능일 시험장 9곳 주변 특별 관리
- 홍기월 시의원, “교권 침해 대응 및 현장학습 보조 인력, 제도 개선 촉구”
- 무안국제공항 재개항 또 연기… 호남민 1년 넘게 발 묶여 광주시,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촉구
- 광주서 전국 최대 ‘장애인복지 통합박람회’ 열렸다
- 국립트라우마센터 운영비 전액·사업비 절반 국비 지원... 강기정 시장, “트라우마센터 안정운영 정부와 적극 협력”
- 강기정 광주시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광주 통합돌봄’ 현장 점검
- 서임석 의원, 외국인 위한 다언어 재난방송 미비 지적... “AI 송출 예산 부족 시스템 구축 못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