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종량제배출함, 청소차 도착정보, 동구라미 온 운영 공로
광주시 동구(청장 임택)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주최한 ‘2025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과기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7일 밝혔다.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정보통신기술의 개발 및 융복합 활용을 통해 ‘디지털 경제·사회’ 구현에 기여한 자 및 우수 기업·기관 등에 포상하는 제도다.
광주시 동구는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 종량제 배출함(특허 출원)’과 ‘청소차 도착 정보 서비스’를 개발했다. 자원순환 플랫폼 앱 ‘동구라미 온’을 통해 자원순환 시민참여에 편리함을 더함으로써, 골목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AI 종량제 배출함’은 광주시 동구가 특허 출원한 제품으로 AI가 종량제봉투만 인식해 투입구를 개폐하는 시스템이다. CCTV로 주변 지역의 무분별한 불법투기를 방지하고 보안등으로 어두운 골목을 밝게 비춰주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외부 전력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는 민간기업과 손잡고 경량화 및 제작단가 절감, 디자인 혁신, 상용화를 위한 새로운 제품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빅데이터를 분석해 개발한 청소차 도착 정보 서비스는 내 집 앞 쓰레기 배출 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했으며 버스 도착정보 시스템(BIS)과 같이 전국적인 확산과 함께 실생활에 필수적인 플랫폼으로서 안착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특히 ‘동구라미 온’을 통해 주민이 직접 쓰레기를 치우면 포인트를 지급(신고 10원, 해결 100원)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캔·페트 회수기 등 위치·상태를 보여주는 배출함 지도, 다회용기 대여, 프로그램 신청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앞서 지난 7월 환경부 탄소 포인트 ‘예비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현재 ‘동구라미 온’과 탄소 포인트를 연계하기 위해 11월 5일부터 광주 지역 최초로 카페에서 텀블러를 사용하는 시민에게 직접 포인트(1회 300원)를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임택 동구청장은 “동구의 탄소중립 정책은 AI와 온·오프라인 플랫폼, 주민 실천이 유기적으로 연계돼 있으며 최초 개발, 특허출원 등 우리 동구는 시대적인 변화와 흐름에 함께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다”면서 “실제로도 많은 기업·단체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주민 생활에 편리함을 더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광주 동구, 청년·예술·지역이 어우러진 ‘서남예술장’ 개최
- 동구, 광주 유일 ‘교통안전지수 A등급’… 전국 최상위권
- 광주 동구, 제1회 SBS 고향사랑기부대상 ‘금상’ 수상
- 동구, 광주아트패스... 가입자 2만명 돌파
- 광주 동구, '학교폭력 근절·청소년 보호'를 위한 캠페인
- 광주시, 미래차 소부장 특화단지 조성 2년차... 자율주행인증 구축·연구개발·인력양성 ‘결실’
- '골목형상점가'... 광주 동구 전 지역 지정 완료
- 광주 동구, 이달 28일까지 '민원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
- 광주 동구의회, 2025년 장애인식개선 교육 실시
- “마사회 광주지점 지방세수입, 계림1동에 우선 투자해야”
- ‘행복동구택시’... 시행 2년 만에 이용률 3배 증가
- ‘강철부대3’ 박지윤, 고향사랑기부제 홍보대사에 위촉
- 광주 동구, '2025년 하반기 쪽방지원운영위원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