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올해 개관한 아르코 예술창작실 1, 2기 입주작가 10인의 작가전, 11월 19일부터 개최

레지던시 작업실의 구조를 미술관으로 옮겨 국내 및 해외 6개국에서 참가한 작가들의 다양한 장소적·매체적 특성 조명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ARKO)), 아르코미술관(관장 이한신)은 오는 20일부터 2026년 1월 18일까지 아르코 예술창작실 작가전《인 시투 In Situ》를 개최한다. 

《인 시투 In Situ》는 올 6월 평창동에 개관한 아르코 예술창작실에 입주한 1, 2기 작가들의 작업을 소개하고 작가들이 입주 후 탐색해 온 ‘현장’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한다. 

 작가들의 작업실을 미술관 전시장에서 만난다... 2025년아르코예술창작실작가전 '인시투In Situ'개최
 작가들의 작업실을 미술관 전시장에서 만난다... 2025년아르코예술창작실작가전 '인시투In Situ'개최

아르코 예술창작실은 국내외 예술 생태계의 지속적인 발전 및 동시대 미술 현장과의 교류를 확장하기 위해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 중인 작가들을 선정했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창작자와 큐레이터 및 전문가를 연결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아르코미술관 전관에서 본격적인 전시를 두 달간 개최함으로써 입주 작가를 다각도로 조명한다. 

전시 제목인 《인 시투 In Situ》는 ‘본연의 장소, 현장에서’라는 뜻의 라틴어로, 작업실로부터 전시장까지 이어지는 작가들의 창작활동을 현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시는 작가들의 작업 과정에 집중해 스튜디오 공간을 미술관으로 옮겨 재현하는 방식으로 기획돼 시간과 공간을 겹치고 펼쳐놓는 장을 형성한다. 다양한 지리적, 문화적 배경의 참여작가 10명은 다음과 같다. 

- 1기(‘25.6월~9월) : 손수민(한국), 윤향로(한국), 발터 토른베르크(핀란드), 부이 바오 트람(베트남), 유스케 타니나카(일본) - 2기(‘25.10월~‘26.1월) : 박정혜(한국), 서희(한국), 카타즈나 마주르(폴란드), 크리스티앙 슈바르츠(오스트리아), 우고 멘데스(모잠비크)

입주작가들이 아르코 예술창작실에서 펼친 사유와 실험, 관계 맺음을 보여주는 이번 전시는 창작실의 설립 취지와도 그 맥락을 함께한다. 단기 체류와 창작이 결합된 레지던시의 특성상 창작실은 완성된 결과를 보여준다기보다는 머무름과 변화를 이끌어내는 장소이다.

ㅇ
, 아르코미술관(관장 이한신)은 오는 20일부터 2026년 1월 18일까지 아르코 예술창작실 작가전《인 시투 In Situ》를 개최한다. 

이러한 과정이 일어나는 창작실이라는 현장은 작가들에게 아카이브이자 장소 기반적 사유의 전환점으로 작용한다. 

참여작가 10인은 아르코 예술창작실 입주 기간에 거쳐 구상하고 제작한 다양한 작업을 소개한다. 1층에서는 1기 입주작가들의 작업이 전시된다.

유스케 타니나카는 전통과 과학, 신체와 시각 간의 관계를 통해 동시대의 치유 미학을 고민하고, 랍(Rab)은 한국의 민속과 일상 속에 존재하는 까치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한 작업을, 윤향로는 작가가 주변에서 마주했던 풍경이 작가에게 남긴 경험과 감각을 기록한 캔버스를 전시한다.

발터 토른베르크는 미술관으로 상징될 수 있는 제도와 권위를 비판하는 관객 참여형 작업을 선보이며 손수민은 피아노라는 악기를 매개로 한국 사회의 모습을 투영한 영상 3점을 소개한다. 

2층에 전시된 2기 입주작가인 크리스티앙 슈바르츠는 도시의 무선 통신 인프라가 만들어낸 도시의 풍경에 주목하고, 박정혜 작가는 시스템 내 존재하는 중의적인 사물들과 그것이 상징하는 것 사이의 관계를 탐색한다.

서희는 외국인으로서 경험한 타지의 의미를 설치물이라는 매개로 드러내고, 카타즈나 마수르는 개인의 기억과 국가적 서사를 사진과 설치물로 보여주며 우고 멘데스는 모잠비크 전통 공예가 함의한 집단적 기억의 층위를 판화를 통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ㅇ
, 아르코미술관(관장 이한신)은 오는 20일부터 2026년 1월 18일까지 아르코 예술창작실 작가전《인 시투 In Situ》를 개최한다. 

전시 연계프로그램으로는 입주작가들이 자신의 작업에 대해 관객들과 이야기하는 《작가와의 대화》(11.21)와 국내 레지던시의 현황과 미래를 레지던시 운영자의 시각으로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26.1월)이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를 기획한 신보슬 예술창작실 프로그램 디렉터는 아트센터 나비,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 의정부디지털아트페스티벌, 대안공간 루프 등에서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예술을 배움의 장으로 확장하는 활동을 이어왔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대학원과 토탈미술관에서 예술과 교육을 연결하는 여러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이한신 관장은 “아르코 예술창작실 사업이 국내외 예술가들의 창작과 교류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한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기회”라고 밝혔다. 

전시는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 소재한 아르코미술관에서 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관람할 수 있고 입장료는 무료다. 전시 및 프로그램 정보는 아르코미술관 홈페이지와 공식 소셜 미디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