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반 농지조사·분석, 농지현황 DB화로 체계적인 농지관리시스템 구축
본인 소유·임차 농지 정보조회, 임대차 만료농지 국민비서 알림서비스 제공
한국농어촌공사는 21일 최근 AI, 드론 등 최신기술을 농지조사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농지의 취득·소유 및 이용·전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농지상시조사 업무에 AI 기반의 지장물 자동식별 등 분석기능을 활용한다.올해는 지난해 시범 실시한 AI 농지분석시스템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AI 분석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농지조사 및 분석결과는 농식품부 차세대 농업농촌 공간정보 통합시스템과 전국 지자체 농지대장 정비에 활용될 예정이다.
공사는 지난해 농지원부 중심의 농지관리체계를 농지대장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889만 필지에 대한 현장 조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종전 1인당 하루 평균 조사량이 55필지에 불과하던 것을 모바일앱과 항공촬영 및 드론 조사방식을 도입하여 하루 조사물량을 111필지로 약 2배 가량 끌어올렸다.
민원인의 농지정보 조회 및 농지대장 발급 서비스도 대폭 개선되었다. 농지공간포털을 통해 농지 소유인 또는 임차인이 농지정보를 조회하고 정부24 연계를 통한 농지대장 발급 등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농지위치,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이력, 전용이력, 임대차여부, 농지대장 작성여부 등이다.
또한, 올해부터는 농지 소유자 및 임차인을 대상으로 국민비서*를 통한 농지 임대차 만료 사전알림 서비스를 오픈하여 농업인의 계획적인 영농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국민비서란? 국민이 필요한 행정정보를 개인 맞춤형으로 안내해주는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행정안전부 주관)이다.
계약종료 1년 전, 6개월 전, 2개월 전, 종료 시 카카오톡 채널 등 SNS를 통한 알림(총 4회)
이영훈 농지관리처장은 “농지관리업무에 대한 디지털 관리체계 도입 및 시스템 기능개선으로 업무효율성과 불편해소를 통해 고객만족이 향상되었다”면서, “디지털전환은 시대를 대표하는 패러다임인만큼 농지관리분야의 디지털전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겠다”고 말했다.
- 농어촌공사, 국민과 함께하는 'ESG 경영' 행보 강화
- 농어촌공사, '스마트농업 확대'로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 확보
- 전라남도의회, 해남 산이정원 5월 개장 앞두고 '현장' 점검
- 전남도, 430만 그루 심어 탄소흡수원 확충 및 숲 조성
- GIST, 장애물 피해 착륙하는 AI 드론 기술 개발
- 농어촌공사, 농촌 노동력 절감 위한 ‘벌통임대지원사업’ 발대식 개최
- 농어촌공사, ‘이동식 모듈형 사이펀 장치’ 특허 민간 개방
- 농어촌공사, 세계적인 ‘K-농업’ 브랜드 창출... '민간기업 성장 지원' 강화
- 농어촌공사, '농지이양 은퇴직불사업' 본격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