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나노입자 구조 제어와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징 기술을 독창적으로 개발해 고기능성 나노소재 개발에 기여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신소재공학부 이은지 교수가 한국고분자학회가 우수 중견연구자에서 수여하는 ‘롯데케미칼 중견학술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한국고분자학회*는 2024년부터 롯데케미칼의 후원을 받아 고분자 과학과 공학의 발전에 공헌하고, 탁월한 연구 활동으로 고분자 과학 및 기술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를 선정하여 ‘중견학술상’ 시상하고 있다.
지난 2018년 GIST에 부임한 이 교수는 유기고분자 자기조립 기반의 연성 나노소재 제조 및 시공간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징 나노기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복잡한 자연계 시스템을 모방한 분자간 인력 제어 기반의 고분자 자가변환 나노입자 합성, 다차원 나노구조- 물성의 상관관계 규명 등 광전자, 바이오의학 분야에 학문적‧산업적으로 크게 기여한 공로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22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차세대 회원에 선출되기도 한 이 교수는 현재까지 180여 편의 논문을 해외 우수 학술지에 발표했으며, 최근에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화학산업유공자 장관표창(2023년) 수상 및 영국왕립학회와 일본화학회에서 고분자화학분야 우수연구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시상식은 지난 4월 4일(목)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년도 춘계정기총회’에서 진행됐으며, 수상자에게는 상패와 상금 500만원이 수여됐다.
한편 한국고분자학회는 고분자 관련 학문 및 기술 발전과 보급, 고분자과학 및 고분자공업 진흥을 위해 1976년 창립됐다. 4500여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 2500여 편의 학술 발표가 이루어지는 국내 대표학회로서 관련 학문과 국가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 GIST, 호남권 창업생태계 거점 ‘지스트 홀딩스’ 가동
- GIST, '혁신전략 전부서 보고대회' 개최... 대학행정 혁신 향한 "새로운 도전"
- GIST 학부생들, 과학기술원 캠퍼스의 청춘과 열정 담은 '지스트의 온도' 출간
- 지스트 홀딩스. 초대 대표이사에 여주상 전 마젤란기술투자 대표 선임
- "학습하지 않은 낯선 환경에도 척척" GIST, 세계 최고 수준 ‘실시간 환경 적응 AI’
- GIST, 티쓰리큐㈜, 가온플랫폼㈜과 '스마트 산업 실현 위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개발에 나서
- GIST, ‘한국형 극노화연구클러스터’... 광주광역시에 유치 본격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