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강우 대비 5월중 저수지 등 일제점검·비상훈련 실시

전라남도는 9일 극한 강우나 태풍 등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 집중호우 사전 대비 및 저수지 안전 관리를 위해 시군 농업생산기반시설 관계자 회의 및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전라남도는 9일 극한 강우나 태풍 등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 집중호우 사전 대비 및 저수지 안전 관리를 위해 시군 농업생산기반시설 관계자 회의 및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전라남도는 9일 극한 강우나 태풍 등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 집중호우 사전 대비 및 저수지 안전 관리를 위해 시군 농업생산기반시설 관계자 회의 및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회의에선 22개 시군 농업기반시설 담당 과장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업생산 기반시설 피해 제로화를 목표로 진행됐다.

주요 회의 내용은 ▲농업기반시설 안전 확보 ▲장마 대비 사전점검 실시 ▲D등급 저수지 관리 및 개선 방안 ▲스마트 정보시스템(JAMIS) 활용법 등이다. 스마트 정보시스템은 전남지역 모든 저수지의 저수율을 항상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국 최초로 개발됐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또한 2025년 예산 확보 방안 관련 사항을 공유하고,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가장 우선시하는 마음을 담아 ‘저수지 안전’ 구호를 외치며 안전관리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전남도는 농업용 저수지 3천207개 중 5만 톤 미만의 소규모 저수지가 73%인 2천335개소이며 건설된 지 50년이 경과한 저수지는 87%인 2천784개소가 있어 저수지 안전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최근 3년간 총 2천172억 원(2024년 695억 원)을 투입해 저수지 제방 그라우팅, 여수로, 사통·복통 등 보수·보강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주민 안전을 위해 20만 톤 이상 대규모 저수지와 하류부에 주민이 거주하는 저수지 1천613개소에 저수지 붕괴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처할 수 있는 비상대처계획(EAP:Emergency Action Plan)을 수립하고, 5월 말까지 붕괴사고 대응 훈련을 22개 시군 116개 저수지에서 실시하고 있다.

정광현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재해에 따른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다할 정도로 대비해야 한다”며 “6월 장마가 오기 전 5월 한 달간 모든 농업 기반시설과 공사 현장을 꼼꼼히 점검해 재해 근절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지역 농업기반시설 및 공사 현장에 대해 5월 한 달간 재해위험요인 제거 등 사전 조치와 수방자재 확보 현황, 시설 관리 상태 등을 집중점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