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역 착수… 교류·휴식·운동 치유형 모델 구축 목표
전라남도는 유기농 생태마을 활성화를 위해 유기농 생태마을과 '치유농업 연계 방안 연구용역’에 착수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용역을 통해 전남 유기농 생태마을 현황을 분석, 치유농업과 연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수립해 유기농 생태마을의 지속적 성장과 주민 소득 증대, 마을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용역 수행기관인 전남도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앞으로 4개월 동안 유기농 생태마을별 자원 및 특색을 분석한다.
특히 농촌진흥청에서 치유농업 유형으로 제시한 교류치유형, 휴식치유형, 운동치유형, 3가지 유형을 생태마을과 접목해 유형별로 분류, 대표 모델 구축 및 치유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한다.
또한 치유농업 운영자 교육을 하는 전남도농업기술원도 유기농 생태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하는 등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민선 8기 도지사 공약사항으로 2026년까지 유기농 생태마을을 100개소로 확대하고, 매출 500억 원을 달성해 주민 소득에 기여토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이같은 목표 달성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덕규 전남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유기농 생태마을의 치유농업 테마화로 새로운 소득 창출과 농업·농촌의 자생력 확보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남도, 자랑스러운 향토기업 발굴 육성
- 전남도-범도민추진위, 상생·화합으로 국립의대 설립 다짐
- 전국 친환경농업협회장 ‘유기농 1번지 전남’서 머리 맞대
- '꿈과 희망의 무대’... 제18회 전국장애학생체전 목포서 개막
- 전남도-전남장애인체육회, 장애학생체전 상황실 방문 및 격려
- 전남도립대, '전국 드론스포츠 경진대회' 성료... "드론 저변 확대 앞장"
- 19일 국제자동차경주장서 ‘아시아 모터스포츠 카니발’
- 전남도, 퀵스타트 프로그램 선정… 기업 투자 활성화 기대
- 전남도,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광주보건환경연구원, 하수기반 감염병 감시 강화
- 전남도, 세계로 뻗어나갈 '글로벌 강소기업' 집중 육성
- 전남도, 6월1일 남악 중앙공원서 '유기농데이' 기념식
김홍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