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우려지역 중심 양식장·인양기 등 3만6천936개소 전수점검
전라남도는 장마철 수산피해를 선제적으로 대응, 피해 제로(zero)를 목표로 6월 10일까지 우심지역 중심으로 육·해상 양식장, 인양기·부잔교 등 3만 6천936개소 실태점검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아열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짧고 매우 강하게 퍼붓는 국지성 호우와 같은 기록적 기상현상이 최근 자주 관측되는 만큼 실효성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수산업은 주로 해상과 연안지역에서 이뤄지는 특성 때문에 자연재해에 쉽게 노출될 수밖에 없어 과하다 싶을 정도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여름철 수산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집중호우 516억 원, 고수온 403억 원, 태풍 208억 원, 적조 149억 원으로 집중호우와 고수온 피해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남도는 과거 피해 사례가 있었던 강진 전복 가두리, 영광 우렁이 양식장 등 재해 취약시설에 집중해 연안시군과 합동점검을 추진하고, 그 외 시설은 시군별 자체 전수점검을 통해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대비를 추진할 계획이다.
중점 점검사항은 ▲재해별 관리 요령 숙지 여부 ▲직원 비상연락망 구축 ▲재해보험 가입 홍보 ▲입식신고 여부 ▲인양기, 부잔교 등 수산시설·장비 정상 가동 여부 관리 실태 등이다.
박영채 전남도 친환경수산과장은 “이번 실태점검을 통해 위험 요소를 철저히 파악,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라며 “양식어가에서도 사육량 준수, 재해보험 가입, 입식신고 등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 [더 자세한 시사] 주4일 근무제 찬성률 90%... 정말 생산성이 높아질까..해외 사례로 보는 주 4일제
- 출향인 고향방문 지원사업「화사로와, 화순」 시작
- 곡성군, 제14회 세계장미축제 24만여 명의 관광객과 함께 성황리에 마무리
- 영암 쌀, 농업브랜드 대상 수상... ‘대한민국 쌀 페스타’
- 전국소년체전, 전남학생선수단... 66개 메달 ‘쾌거’
- 전남도, 우수 후계농업경영인 65명 육성
- 전남도, 여성폭력 보호시설 인권침해 구제 온힘
- 31일 전남도청서 ‘전남형 트램 추진 토론회’ 개최
- 전남도, 동부권 도정자문위원과 '소통·협력' 강화
- 전남도교통연수원, '평생교육생 교통안전교육' 활성화
- 전남도, '유기농 품목 다양화'로 소비자 만족도 높인다
김홍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