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이대로는 안 된다, 건전성 관리, 수익성 개선 등 필요
![이번 사태가 2011년 저축은행 줄도산 사태와 비슷한 양상이 전개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이어졌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PF 대출을 확대하던 저축은행이 차례로 도산하고 10만여 명의 피해자가...[본문 중에서]](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06/334197_340237_1239.jpg)
: 도마 위에 오른 저축은행 위기설... 무엇이 문제일까
저축은행의 위기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부실채권 비율 10% 초과인 저축은행 절반 이상, 10대 저축은행의 부동산 대출 연체율 12.46% 도달, 일부 시중은행보다 낮은 예금 상품 금리 등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지난 2일 한국경제신문은 저축은행의 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0% 넘은 곳이 46개, 20%를 초과한 곳은 10개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011년 저축은행 줄도산 당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평균 20%대였기 때문에 저축은행의 위기설에 더욱 힘이 실렸다. 고정이하여신이란 3개월 이상 연체되거나 회수가 불투명한 부실채권을 의미한다. 이는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개인과 기업의 대출 상환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부동산 PF의 직격탄을 맞게 된 결과라 보는 이들이 많다.
한편, 부동산 PF 대출의 연체율이 10% 이상인 저축은행은 79곳 중 43곳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 전체 PF 대출 중 연체액은 1조 382억원으로, 연체율이 10.96%이다. 지난해 말, 금융권의 부동산 PF 연체율인 2.7%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특히 올해 1분기 말을 기준으로 상위 10개의 저축은행(OK, OSB, SBI, 다올, 상상인, 신한, 애큐온, 웰컴, 페퍼, 한국투자) 부동산 대출 연체율은 12.46%으로 확인됐다.
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79개)가 취급하고 있는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296개의 연평균 금리가 지난 1월에 비해 0.3%P 가까이 떨어져, 연 3.67%로 집계되었다. 5대 저축은행(OK, SBI, 애큐온, 웰컴, 애큐온, 한국투자)의 1년 평균 금리는 연 3.65%로 5대 시중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의 1년 정기예금 평균 금리인 연 3.58%와 비교하였을 때, 0.11%P 차에 그쳤을 정도이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저축은행의 금리가 시중은행의 금리를 밑돌게 된 것은 9년 만에 적자를 기록하게 된, 저축은행들이 최우선 과제로 손익 개선을 목표로 함으로써 예금 금리 경쟁을 자제한 결과로 평가했다. 실제로 국내 저축은행 79곳은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5559억원을 기록하며, 1년 전 당기순이익인 1조 5622억원에 비해 2조원 넘게 줄었다.
: 신용등급 하락, ’88클럽‘ 대거 탈락... 해결 방법은 없을까
부동산 PF로 인한 건전성 부담 및 수익성 악화는 결국, 저축은행 신용등급의 하락으로 이어졌다. 한국기업평가는 BBB+에서 BBB로 OK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낮췄다. 이외에도 나이스신용평가는 페퍼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으로 낮추는 등 애큐온저축은행, OK저축은행, KB저축은행 등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바 있다.
그 결과, ‘88클럽’(재무 건전성이 튼튼한 저축은행)에 포함되는 저축은행이 15개가 되었다.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88클럽’에 속한 저축은행 68개였으나, 지난해 말 41개로 줄었고 3개월 만에 15개가 된 것이다. 대부분 고정이하여신비율을 맞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연체율이 높은 저축은행 10여개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에 나선다. 연체율 관리 방안 및 이행 현황 등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저축은행중앙회는 1360억 규모의 공동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입찰 과정을 거쳤으며 우리금융 F&I, 키움 F&I, 하나 F&I 등 3사를 매수자로 하는 매각계약이 체결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건전성 관리를 목적으로, 공동 매각을 지속해서 활용해 부실채권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부동산 PF 부실자산을 적극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3500억 수준의 2차 부실채권 정리 펀드를 조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 2011 저축은행 줄도산 악몽... 되풀이될 것인가?
한편, 이번 사태가 2011년 저축은행 줄도산 사태와 비슷한 양상이 전개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이어졌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PF 대출을 확대하던 저축은행이 차례로 도산하고 10만여 명의 피해자가 나온 사건을 말한다.
2011년과 2024년의 사태는 부동산 경기 호황기 직후이자 금리 인상기라는 점에서 닮아있다. 또한, 저축은행의 적자가 심해지고 건전성 저하를 우려하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2011년의 상황이 이번에도 되풀이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특히 2011년 저축은행이 줄도산한 데에는 PF 대출 부실의 영향이 크다. 이 때문에 금융감독원에서도 집중관리를 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부동산 PF가 쉽사리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기에 저축은행의 2분기 실적은 지금보다 악화될 것이라 전망하였으나, 2011년과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고 분석했다. 2011년 저축은행 줄도산 사태 당시, 저축은행 연체율은 25.1%,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9.06%로 급등했다. 이에 비해 이번 1분기의 경우 저축은행 연체율은 8.8%,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32% 수준이기에, 2011년 사태가 반복될 것이라 속단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저축은행의 도산은 단순히 회사가 폐업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그 피해는 저축은행의 예금자와 후순위 채권 투자자에게 원금 손실 피해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1년 당시, “집을 팔아 넣어둔 전 재산이다.”, “한평생 모은 돈인데 전부 날아갔다.”라며 큰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때문에 2011년 저축은행의 악몽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할 때이다. 이에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중앙회 등은 저축은행의 건전성 관리를 위해 여러 대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저축은행들은 건전성 관리 및 손익 개선을 목표로 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 [뉴스워커_ 더 자세한 시사] 로맨스스캠 줄어들 기미 없어... 6억 7천만원 뜯은 40대 여성 실형 선고
- [더 자세한 뉴스] ‘라인 사태’ 이제는 韓日전 양상 보여... 라인 뺏길까
- [뉴스워커_더 자세한 이슈] 현대차 vs 서울시, GBC 최고층수 갈등 커져
- [뉴스워커_더 자세한 시사] N번방 사건 4년 지났지만... 디지털 성범죄 여전...디지털 성범죄 과거와 현재까지, 그동안 어떻게 처벌됐을까?
- [뉴스워커_더 자세한 시사] 고용주의 사내 메신저 대화 열람... 직장인들 “보듬컴퍼니 사건으로 처음 알게 돼”
- [뉴스워커_더 자세한 이슈]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분석한 ‘액트지오’... 자격 논란에 휩싸여
- “장기와 혈관, 신경 등 인체의 모든 조직을 직접 만져볼 수 있어 좋았다”...신선한 카데바 논란... 비의료인 대상 유료 강의에 대한 논란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