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S 세계대학평가’에서 최초 랭크된 2008년 이후 17년째 세계 최상위권 유지

연구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논문 피인용 수를 집계한 지표

비결은 최적의 ‘연구 몰입’ 환경 조성

“미래 밝히는 길을 찾는 인재(path finder) 양성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발전과 인류 행복에 공헌하는 대학 지향할 것”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이 ‘2025 QS 세계대학평가(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에서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 세계 4위(1위 美 하버드대), 국내 1위에 올랐다.

GIST 이동선 교수 연구팀이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 장비에 질화갈륨 원격 에피택시 실험용 샘플을 실험하고 있다.
GIST 이동선 교수 연구팀이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 장비에 질화갈륨 원격 에피택시 실험용 샘플을 실험하고 있다.

QS 세계대학평가는 영국 글로벌 대학평가 기관인 QS(Quacquarelli Symonds)에서 매년 6월 발표하는 순위로, 올해는 한국 시각 기준 5일 오전 5시에 발표됐다.

GIST는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Citations per Faculty)’ 부문에서 2008년 이후 17년 연속 국내 1위로 평가됐으며 세계 대학 중 줄곧 2위에서 6위 사이의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올해 이 부문에서는 GIST를 비롯한 국내 연구 중심 과학기술특성화대학들이 세계 40위권 이내의 우수한 평가를 받아 과학기술과 미래인재 육성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대학의 연구경쟁력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는 해당 대학 소속 연구자들의 논문이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대학 연구 역량의 양(量)과 질(質)을 모두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이다.

올해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는 2018-22년(5년) 동안 해당 대학에서 발표한 논문에 대한 2018-23년(6년) 기간의 피인용 수를 집계한 것이다.

GIST 송영민 교수 연구팀이 1V 이하의 매우 작은 전압에서 빛과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99%에 가까운 고효율 광신호 변조 효율의 광변조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GIST 송영민 교수 연구팀이 1V 이하의 매우 작은 전압에서 빛과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99%에 가까운 고효율 광신호 변조 효율의 광변조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특히 이 지표는 ‘학계 평판’이나 ‘졸업생 평판’과 같은 응답자의 주관이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지표와 달리, 연구 실적과 다른 연구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산출한다는 점에서 신뢰도가 높은 평가 항목으로 꼽힌다.

올해로 설립 31주년을 맞은 GIST가 줄곧 세계 정상급 연구 역량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설립 초기부터 국제화와 수월성을 운영 철학으로 삼고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온 덕분이다.

GIST는 미국 MIT 등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적극 지원하고, 연구 분야나 학제 사이의 벽을 허물어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로 이뤄진 연구그룹 중심의 융합 연구를 장려한다.

아울러 교원과 재학생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는 연구자에게 다양한 인센티브 및 포상을 제공하는 전략적 인사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임기철 총장은 이번 평가 결과에 대해 “GIST의 세계 정상급 연구 역량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면서 “미래 30년을 향해 새로운 도약을 시작한 GIST는 세계 최초·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인 연구와 교육을 통해 미래를 밝히는 길을 찾는 인재(path finder)를 양성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국가 발전과 인류 행복에 공헌하는 대학을 지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