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6일(목) 제73회 일본고분자학회 연차대회에서… 고분자 합성 기초연구 및 고분자 소재 분야 응용연구 업적과 한-일 고분자 분야 학술 교류에 기여한 공로 인정받아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신소재공학부 이재석 명예교수가 고분자 관련 우수한 연구를 달성한 세계적인 과학자로서 일본과 국제교류에서 활발하게 활약한 외국 과학자에게 수여되는 일본고분자학회 ‘국제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1994년 GIST 설립 초기에 부임한 이 교수는 고분자 합성 중 음이온 중합에 의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리빙성을 최초로 발견한 석학으로, 특히 이소시아네이트의 고분자 합성에 있어서 활성 말단의 리빙성 발견과 리빙 고분자의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교수는 고분자 합성에 관한 기초연구뿐 아니라 ▴나노소재 제조 ▴광결정용 거대 보틀브러쉬 블록공중합체 합성 ▴자기유화중합 ▴분자레벨 규칙배열 구조 제어 ▴전해질을 활용한 미세먼지 필터 소재와 에너지(연료전지 및 배터리) 등 고분자 소재 분야에 학문적‧산업적으로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대학을 만들려면?”... GIST, 손욱 이사장 초청 ‘한국형(K) ESG’ 특강 개최
- GIST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 '한국훔볼트회 회장' 선임
- GIST 발전후원회 박주선 회장, GIST에 발전기금 기탁
- GIST, QS 대학평가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세계 4위(17년 연속 국내 1위)
- GIST, 혁신적 2차원 공유-유기 골격체(COF) 합성 기술 개발 빛과 유체 흐름 활용… 광전자 소자 획기적 발전 가능성 열어
- GIST-아마존웹서비스(AWS)코리아, 양자컴퓨팅‧AI 분야 연구 및 교육 ‘맞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기도 한 이재석 교수는 현재까지 260여 편의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했으며, 한국고분자학회 고분자논문상, LG화학고분자학술상, 대한민국 과학기술포장을 수상한 바 있다. 저서로 『나의 교육과 연구 그리고 지역사회 봉사(GIST PRESS 펴냄)』가 있다.
한편 일본고분자학회*는 탁월한 연구 활동으로 고분자 과학 및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일본과의 교류에 공로가 큰 연구자를 선정하여 1994년부터 ‘국제상’을 시상하고 있다.
* 일본고분자학회: 고분자 관련 학문 및 기술 발전과 보급, 고분자 과학 및 고분자공업 진흥을 위해 1951년 설립됐다. 10,000여 명 이상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매년 연차대회, 고분자토론회, 폴리머재료포럼 등 3대 행사와 각종 학술 발표를 주관하는 일본 대표학회로서 관련 학문과 국가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올해 시상식은 6월 6일(목) 일본 센다이국제센터에서 열린‘제73회 일본고분자학회 연차대회’에서 수상 강연과 함께 진행됐다.
-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대학을 만들려면?”... GIST, 손욱 이사장 초청 ‘한국형(K) ESG’ 특강 개최
- GIST 지구‧환경공학부 이재영 교수, '한국훔볼트회 회장' 선임
- GIST 발전후원회 박주선 회장, GIST에 발전기금 기탁
- GIST, QS 대학평가 ‘교수 1인당 논문 피인용 수’... 세계 4위(17년 연속 국내 1위)
- GIST, 혁신적 2차원 공유-유기 골격체(COF) 합성 기술 개발 빛과 유체 흐름 활용… 광전자 소자 획기적 발전 가능성 열어
- GIST-아마존웹서비스(AWS)코리아, 양자컴퓨팅‧AI 분야 연구 및 교육 ‘맞손’
- GIST-MIT, 긴밀한 공동협력으로 창출한 ‘인간 중심’AI 시스템 연구성과 이어져
- GIST, 광양시와 인재 양성 및 신산업 육성 업무협약... 인공지능(AI), 로봇, 이차전지 분야
- GIST-중앙대, 알츠하이머 발병 연관 타우단백질-모터단백질 상관관계 밝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