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미주리大와 공동교과 개설
해외 캠퍼스. 연구클러스터도
전남대학교가 전 세계 64개국, 608개 대학, 48개 연구기관과 맺고 있는 협정을 바탕으로, 글로벌 혁신 허브를 구축해 해외 대학과의 전략적 협업공간을 확대해 나간다.
또, 우수 유학생 3000명을 유치해 지역에 거주하도록 함으로써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등 글로벌역량을 지역사회 활성화로 연결해 나가기로 했다.

전남대는 60년 넘게 교류해 온 미주리대학(콜롬비아)에 CNU 혁신 허브를 구축하고 북미지역부터 시작해 연구 주제에 따라 확대해가며 공동연구, 공동교과목 개설, 학생 파견 등을 실행하기로 했다.
또 이를 한국기업과 기업가정신 연구 및 교육수요 확대를 위한 거점연구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미주리대학과는 한류(K-Culture) 관련 공동교과목도 개설할 계획이다.
중국 온주의과대학 내에 중외합작프로그램으로 ‘의과학자’ 전공 과정을 신설하는 등 해외캠퍼스 개설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고, 베트남 협력 대학들의 교원과 학생을 바이오 분야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프로그램도 계획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 분야는 지자체와 산업체, 베트남 현지 대학, 연구소와의 지-산-학-병-연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베트남 교육부, 보건부를 포함한 정부 기관과 지자체의 법적, 제도적 지원도 이끌어 낼 방침이다.
이와함께 전남대는 광주시와 여수시 구도심의 노후화된 빈집을 개보수해, 우수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지방소멸에 대응함과 동시에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Residence(레지던스) 3000’ 프로젝트도 내놓았다. 광주광역시가 1,400여 채에 이르는 빈집을 연간 약 17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정비하는 사업과의 연계 전략이다.
전남대는 “해외 대학들과의 풍부한 협정을 바탕으로 국제거버넌스를 강화하면서, 해외캠퍼스나 공동연구, 공동교과목 개설 등 실질적인 교육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위해 ‘글로컬대학 30 사업’이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 전남대, 사제동행 ‘플로깅’ 활동
- 전남대 법전원, 김상환 대법관 초청 강연
- 전남대 등 7개 대학 공동, 'AI 최저규제 동등화' 협약 체결
- 전남대 총학생회, 북부경찰서와 불법 카메라 등 '합동 순찰'
- 전남대 개교 72주년 기념식... “인재 양성의 100년 미래 그려갈 것”
- 전남도 인사 앞두고 강진 부군수 '막장 행동'... '비난 여론 확산'
- 광주경찰, 시민 눈높이에 맞는 교통안전 정책 추진 설문조사 결과... “이륜차 가장 위험”
- 전남대 '5만 기행' 세번째 여정 떠난다
- 전남대, NAFSA 2024서 세계 40개 대학과 국제교류 진전
- 전남대 민정준 교수의 암 면역치료 논문, 세계 최고 종양학 저널 게재 ‘화제’
- 전남대 언어교육원, '美 국무부 위탁 CLS 프로그램' 10년 연속 운영
- 전국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고등교육 발전 핵심은 재정지원과 자율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