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영배 “물의를 빚어 죄송”
이커머스 업체 티몬과 위메프(티메프)의 정산 지연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티메프 모회사 큐텐 그룹의 구영배 대표가 본인 사재를 털어서라도 피해를 보상하겠다고 29일 밝혔다. 그러나 불과 3시간 뒤 두 회사 모두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 신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구영배 대표의 양두구육 식 태도는 전 국민을 분노하게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을 통해 “티메프 사태의 본질은 사기”라며 “책임을 철저히 추궁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공권력이 티메프 사태에 대해 전방위적 조사에 착수했다. 공동수사에 나선 검찰과 경찰은 이미 티메프 사태 관계자들을 출국 금지 조치했고, 금융감독원 역시 큐텐 그룹을 현장 조사했다.
정치권은 30일 오후 2시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에 구영배 대표를 출석시켜 긴급 현안 질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구 대표와 티몬 류광진 대표, 위메프 류화현 대표가 출석했다.
구영배 대표는 “현재 큐텐 지분 38%를 소유하고 있으며, 전액 피해 보상에 내놓겠다”며 “현재 회사에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은 최대 800억원 정도다”고 밝혔다. 다만 800억원을 당장 사용할 수는 없다고 발언했다.
또한 지난 2월 인수한 북미·유럽 기반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위시 인수에 티몬과 위메프 자금을 쓴 사실을 인정했지만, “정산 지연 사태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업회생 신청이 의도적 책임 회피라는 지적에 구 대표는 “약간 도와주시면 다시 정상화하고 반드시 피해 복구할 확신이 있다”고 답했다가 의원들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피해자들은 구영배 대표를 비난하는 한편, 정부의 뒤늦은 대처에도 불만을 제기했다. 이들은 “애초에 티몬과 위메프를 큐텐 그룹이 인수하게 두면 안 됐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 “기업회생 신청이 승인되면 대금이 묶여 우리(피해자)가 못 받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실제로 법원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전날 티메프가 신청한 기업회생 사건을 회생 2부(법원장 안병욱)에 배당하고 이날 보전처분과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티몬·위메프는 영세 판매자 등 채권자에게 정산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됐다.
피해자들은 소비자원을 통해 내달 1일부터 집단 분쟁조정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조정 절차가 매우 느리고 조정안 거부 시 법적 효력이 사라진다는 단점이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 지난 2021년 머지포인트 사태 때도 집단 분쟁조정에서 피해자가 이겼지만, 회사의 조정안 거부로 아직도 돈을 못 받았다.
![[사진=픽사베이]](https://cdn.newsworker.co.kr/news/photo/202407/341903_350003_294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