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이날 SK하이닉스 본사인 이천캠퍼스를 찾아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 등 주요 경영진과 함께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 라인을 둘러보고, AI 메모리 분야 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이번에 최 회장이 살펴본 HBM 생산 라인은 최첨단 후공정 설비가 구축된 생산 시설로, SK하이닉스는 이 곳에서 지난 3월부터 AI용 메모리인 5세대 HBM(HBM3E) 8단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리더십을 공고히 하기 위해 차세대 HBM 상용화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HBM3E 12단 제품을 올해 3분기 양산해 4분기부터 고객에게 공급할 계획이며, 6세대 HBM(HBM4)은 내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최 회장은 HBM 생산 라인을 점검한 뒤 곽노정 대표와 송현종 사장, 김주선 사장 등 SK하이닉스 주요 경영진과 함께 AI 시대 HBM을 비롯한 D램, 낸드 기술, 제품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미래 사업 추진 방안에 대해 장시간 논의를 진행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가 지금은 HBM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내년에 6세대 HBM(HBM4)이 상용화되면 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것”라며,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차세대 수익 모델에 대해 지금부터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 회장은 “인공지능(AI)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AI의 거센 흐름 속에서 SK의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려면 지속적인 R&D와 효과적인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라며, “한치앞도 예측하기 어려운 반도체 사업 환경 속에서 힘을 모아 전략적으로 대처해 나가자”라고 당부했다.
이어 최 회장은 "최근 해외 빅테크들이 SK하이닉스의 HBM 기술 리더십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라며, "이는 3만 2천명 SK하이닉스 구성원들의 끊임없는 도전과 묵묵한 노력의 성과로서 앞으로 SK하이닉스가 AI를 이끄는 일류 반도체 회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더욱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SK 관계자는 “최 회장은 SK의 AI 밸류체인 구축을 위해 국내외를 넘나들며 전략 방향 등을 직접 챙기고 있다”라며, “SK는 HBM, 퍼스널 AI 어시스턴트 등 현재 주력하고 있는 AI 분야에 더해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 AI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할 것”라고 말했다.
- [뉴스워커_경영레이다⑭] “역대 최대 규모 재산분할” SK 최태원 회장... 이혼소송으로 인해 경영권까지 흔들릴까
- SK그룹 최태원 회장, 대만 TSMC 와 만나 “AI 반도체 협업 강화”
- SK그룹, 경영전략회의서 ‘미래 투자’ 및 ‘질적 성장’ 방안 등 논의
- SK그룹 회장 최태원, 미국 빅테크 CEO들과 AI 협력 강화
-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에 김형근 사장 공식 선임
- SK하이닉스, ‘테크 데이 2024’ 진행
- SK, 이천포럼에서 AI 생태계 확장 위한 해법 모색 나서
- SK그룹, 지식경영 플랫폼 '이천포럼' 성료
- 최태원 SK 회장, 美 상원의원 대표단과 양국 경제협력 방안 논의
- SK,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납품 대금 3,272억원 조기 지급
- SK그룹, 베트남 태풍 피해 복구에 30만 달러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