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정서 안정 프로그램 지원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24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건강장애학생 행복 멘토링’을 실시했다.
이번 행사는 건강장애학생의 안정적인 학교 복귀와 가족 간 유대감 형성을 위해 마련됐다. 건강장애 학생은 3개월 이상 입원이나 통원치료가 필요한 질환을 앓고 있고, 학교생활 및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의미한다.

이날 참가자들은 가족과 함께 꽃꽂이를 하고 꽃바구니를 만들며 치유와 소통의 시간을 보냈다.
시교육청은 이번 프로그램이 건강장애학생과 가족 간의 협력, 소통 역량을 키우고 학생의 자신감 형성과 학교 적응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정선 교육감은 “프로그램이 건강장애학생과 가족들에게 치유와 소통의 시간이 되었길 바란다”며 “치료와 교육을 병행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안정적인 학교 복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특수교육지원센터는 건강장애학생의 안정적인 학교 복귀 지원을 위해 ▲건강장애학생 담당교원(업무담당자)역량 강화 연수를 통한 학교 복귀 프로그램 운영 안내 ▲건강장애학생 맞춤형 멘토링(학습·심리·정서)프로그램 운영 ▲건강장애학생 태블릿PC 대여를 통한 학습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련기사
- 광주시, 28일 ‘학교밖청소년 대학입시박람회’ 연다
- 광주 학생들, “호주서 직업기술 교육… 글로벌 역량 키워요”
- 광주시교육청,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합격자 발표
- 광주시교육청, ‘2024 청렴 슬로건 및 숏폼 영상 공모전’ 개최
- 이정선 교육감, “‘시국사건 임용제외 교원’ 원상회복 조치”
- 광주학생들, 호주 한글도서관에 도서 기증
- 대만 타이난시 고등학생들, 광주서 5·18 역사 배운다
- 광주시, 정무특별보좌관에 박철호씨 임명
- 광주교육시민협치진흥원, 어린이 문화유산 해설사 양성
- 광주시교육청,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 적극 대응한다
- 광주시교육청, 10개 학교에 '보차로 분리 표시등' 설치
- 광주시교육청, '딥페이크 범죄 대응 전담팀' 운영
김홍재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