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허 양식장 위치 조정 등으로 과밀 해소·생산성 회복 기대
전라남도는 연안의 밀집된 어장환경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수산업 생산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사업비 33억 원을 투입, 연안어장 재배치 사업을 추진한다.

연안어장 재배치 사업은 과밀하게 조성된 기존 양식장을 바닷물의 방향 등을 고려해 체계적으로 재배치함으로써 바닷물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양식장과 주변 해역 해양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2011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전남의 해면(바다) 양식장 면적은 12만 516ha로, 전국의 75%를 차지하고 있어 수산물 생산 거점기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과밀된 양식장은 어장환경 악화와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전남 양식장 현황(2023년말):5,419건/120,516㏊(전국 10,074건 / 161,947㏊)
이번 사업에선 기존 양식장 위치, 바닷물의 흐름과 해저 지형 등을 고려한 해황 조사를 실시하고, 양식장 간격 재조정, 과밀 해소를 위한 적지 조사와 현장 측량실시 후 최적의 양식장 재배치 도면을 작성한다. 이를 2026~2027년 면허양식장 이용개발계획에 반영해 면허 양식장 위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사업의 지속적인 시행을 통해 해양 오염 방지와 질병 확산 예방뿐 아니라, 어장 생산성 회복과 어장질서 확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이번 연안어장 재배치 사업은 단순한 공간 재조정이 아니라 친환경 양식업의 지속 가능성과 연안 어장 회복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김영록 지사, “대선 투표 참여 적극 권장” 당부
- 김영록 지사, 전남수협조합장협의회와 '수산 현안 논의'
- ‘기억은 기록으로 남는다’... 전남도, 5·18 구술채록사업 추진
- 전남도-부산시, 여수세계섬박람회 계기 해양협력 강화
- 전남 물김 생산량 54만톤·생산액 8천408억…역대 최대
- 전남농기원, 기후위기대응 등 국가연구개발공모 140억 확보
- 전남도, 폭염 대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본격 가동
- 전남지역 골프장 농약 잔류량 검사한다
- 김영록 지사, “지방대 혁신·미래인재 양성 지원 최선”
- 전남도, 농촌 의료사막화 해소 ‘해피BUS데이’ 시동
- 전남도, '체감형 복지 실현' 속도
- 전남도, 기재부와 '지역 활성화 투자' 펀드 로드쇼
- 전남도, '철강산업 위기대응 민관 협의체' 본격 가동
- 장애인 참여 ‘아름다운 동행 봉사단’, 보성서 봉사활동 눈길
- 전남도, '솔라시도 미래차산업 육성' 전략 수립 나서
- 전남도, '가정위탁의 날'… 위탁부모-아동 행복한 성장 다짐
조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