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예비비, 발전소 주변 및 인접지역 주민 위해 쓰여야”
2024년 추경 통해 18억 추가 증액한 예비비 86억 전액 불용
원전 사고 대응 위해서라지만 구체적 근거 미비해
지역균형개발 및 주민 복지증진 사업 제안
지난 6월 9일 열린 전라남도의회 도민안전실 소관 2024년도 결산심사에서 전남도의 비효율적인 원자력발전 지역자원시설세 운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원자력발전 지역자원시설세는 발전소시설 주변지역과 인접지역의 개발 및 광역적인 방재대책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세금으로, 전남도는 2024년 세출예산 463억 원 중 377억 원을 사용하고 재해·재난목적 예비비 86억 원은 불용 처리했다.

하지만 당초 본예산에 편성된 재해·재난목적 예비비는 67억 8천만 원이었고 이후 추경에서 18억 2천만 원을 더해 총 86억 원으로 늘었음에도 한 푼도 사용하지 않으면서 불필요하게 증액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나광국 의원(더불어민주당ㆍ무안2)은 “예비비는 지자체가 예측할 수 없거나 기존 예산을 초과하는 지출에 대비하기 위해 편성하기 위한 것이다”며 “86억 원이라는 막대한 금액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은 지역개발과 주민복지 증진이라는 기회비용을 날려버린 셈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원전사고 발생 시 대응에 필요한 일일 비용을 60억 원 정도로 추산했다는 전남도의 주장에는 “구체적 근거가 부족하고, 남은 26억 원으로는 부족해 결국 일반예비비를 투입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나 의원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불용된 예비비는 결국 본연의 목적에 맞게 쓰이지 않고 순세계잉여금으로 재편입되어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며, “예산이 본래 목적에 맞게 주민들의 실질적인 안전과 복지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강영구 도민안전실장은 “재해·재난목적 예비비 편성이 과도하다는 지적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보고 개선할 점이 있다면 개선해나가겠다”고 답했다.
- 조옥현 도의원, “전남도 문화 예산 불용 반복·정산 지연…예산낭비 지적”
- 윤명희 도의원, 중장년층 창업 지원으로 경제적 재도약 발판 마련
- 강정일 도의원, ‘전라남도교육감 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개정안 대표발의
- 신민호 도의원, 전라도 천년사...수정‧보완본 출판해야
- 이재태 도의원, “글로컬교육박람회 용역비 125억…정산 검증 부실”
- 임지락 도의원, 경로당 무료급식 예산 잔액 지적... “현실적 수요 반영 필요”
- 전서현 도의원, “성인지예산, 형식적 편성 벗어나야”
- 류기준 도의원, 예비비 의존 되풀이... 제도적 장치 마련해야
- 전경선 도의원, 전남도 예산 집행 관리 부실로 재정 혼란 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