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물ㆍ시설 기준 보상체계, 농자재 복구는 공백
기후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농업 위한 구조 개편 절실
자연재해로 인한 농자재 피해 보상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전라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더불어민주당ㆍ나주3)은 지난 28일 열린 제392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자연재해로 인한 농가의 농자재 피해 보상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이 의원은 “지난 16일부터 닷새간 계속된 집중호우로 전남 지역의 피해액이 455억 원을 넘어섰다”며 “주택 612채가 반파되거나 침수되고 가축 49만 2천 마리가 폐사했으며, 농경지 7,700여 헥타르가 침수되는 등 피해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이어 “해마다 반복되는 이상기후와 기상이변 속에서 농민들은 예측 불가능한 자연재해의 불안 속에 살고 있다”며 “이로 인한 피해는 수확 이후가 아닌 농사 준비 단계부터 시작되지만, 현행제도는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재 농어업재해보험은 대부분 수확물 중심의 피해를 기준으로 보상하고 있다”면서 “종자ㆍ비료ㆍ농약 등 생산단계에 투입된 농자재 손실은 원칙적으로 보상에서 제외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재난관리기본법상 복구비 지원 역시 하우스나 시설물 등 물리적 구조물에 한정돼 있다”며 “농민이 사전에 들인 농자재 비용은 어디에서도 보전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기후위기 시대 자연재해는 예외적인 사고가 아니라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상시적 리스크”라며 “수확물 중심, 시설 기준의 낡은 보상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농자재 피해 보장 보험특약 개발 및 도입 ▲재난관리기본법 개정을 통한 선투입 농자재 비용 보상항목 포함 ▲전라남도 차원의 ‘농자재 긴급복구 지원 조례’ 제정 ▲재난관리기금 내 농업피해 항목 예산 편성 등을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이 의원은 “자연재해는 피할 수 없어도 농민의 고통과 절망을 외면하는 제도가 더 이상 지속되어선 안 된다”면서 “농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전남도의회, 국회 찾아 전라남특별자치도 특별법 제정 건의
- "지자체 참여 확대, 수계법 개정" 전남도의회 수계관리 특별위원회 활동 개시
- 류기준 도의원, ‘마을공동체·으뜸마을’ 중복 사업 정책 통합 촉구
- 전라남도의회 농수산위원회, “농축산물 더 이상 협상카드로 삼지 말라” 강력 성명
- 전남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남도 제2회 추경 13조 6,951억 원 원안가결
- 전라남도의회 지역 및 인구감소 대응 연구회, “전남 인구감소 해법 찾기...정책모델 개발 박차”
- 나광국 전남도의원, 도내 산업단지 근로자 아침식사 지원사업 제안
- 전라남도의회, 2025년 하반기 정기인사 단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