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전자컴퓨터공학과 이혜린 석사과정생, 차세대 메모리 설계 패러다임 제시
전남대학교(총장 이근배) 지능전자컴퓨터공학과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기반 통계적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DRAM 코어 회로 자동화 설계 플로우워크를 제안해 학계와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에는 전남대 지능전자컴퓨터공학과 석사과정 이혜린 학생(제1저자, 지도교수 이명진)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 미세화로 인해 DRAM 센스 앰프(sense amplifier)에서 발생하는 임계전압 불일치와 오프셋 문제를 AI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하는 새로운 설계 접근법을 제시했다.
특히 단계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3-Stage UQ(Uncertainty Quantific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해, 기존 몬테카를로(Monte Carlo) 방식 대비 시뮬레이션 시간을 수천 배 이상 단축하면서도 높은 예측 정확도를 유지하는 성과를 입증했다.
이 연구는 단순한 회로 성능 향상을 넘어, 제조 공정 변동성을 반영한 DRAM 코어 회로 설계 자동화의 신뢰성 확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차세대 메모리 설계 전반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 설계 자동화 방법론으로 확장될 수 있어, 메모리 반도체 산업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명진 교수는 “이번 성과는 AI가 반도체 회로 설계 자동화의 중심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DRAM 코어 회로 설계 최적화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논문은 이명진 교수가 창업한 반도체 설계 자동화 플랫폼 개발 기업 앰아이셈(주)의 핵심 기술로서도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학·석사연계 ICT 핵심인재양성사업’, 전남대학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교육부의 ‘글로컬랩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한편, 본 연구 성과는 세계적 권위 학술지 IEEE Transactions on Computer-Aided Design of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2025년 10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 전남대학교, 2025 가을학기 외국인 교환학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 전남대, ‘지역 문화유산 x 패션’ 융합 교육콘텐츠 첫 선
- 광주 북구, ‘전국 최다’ 골목형 상점가 123개소... 전 지역 지정 선포
- 안도걸 의원, '26년도 정부 예산안'... "광주 동남을 주요사업 1,543억원 반영"
- 광주시-17개 대학, ‘광주RISE 비전’ 선포
- 전남대, 국립대 최초 ‘AI 입학상담 24시’ 오픈
- 전남대 ‘나노바이오시스템’ 창상피복재 상용화 도전
- 전남대병원 이건우 교수팀, 중소벤처기업부 과제 선정
- 전남대, ‘스마트 장비 기술 활용 직무교육’ 성료
- 전남대 수의대, 세계 8위 NUS와 글로벌 연구협력 '맞손'
- 광주 대표 문화축제... 대인야시장, 가을밤 더 풍성한 예술밥상 차린다
- 우원식 의장-강기정 시장, 디자인비엔날레 함께 관람
- 이병훈, ‘지역이 강해야 대한민국이 산다’... 광주 리모델링 출판 '토크콘서트' 성료
- 전남대, ‘스마트 장비 직무교육’ 성황리 종료
- 광주시 - 더불어민주당 현안 해결 힘 모아... '자치분권정책협의회' 열려
- 강기정 광주시장, 전남대 용봉포럼서 강연
- 전남대 여수캠퍼스 학군단, 베트남에서 국방의무 되새겨
- 전남대 조교들, 대학발전에 정성 모아
- 전남대 중기산학협력센터, 국무총리 표창
- 전남대 교육문제연구소, 글로벌인문사회융합연구지원사업 선정
- 전남대 최지희 박사, 한경국립대 조교수 임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