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매뉴얼과 제도적 장치 필요

곡성군은 지난해 감사원이 실시한 “곡성군 기관 정기 감사”에서 총 15명이 무더기 중·경징계 요구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공무원 사회 및 지역 정가에 큰 충격을 주고있다

지난 13일 군에 따르면 지난해 4월1일부터 5월20일까지 시행된 감사원 “곡성군 기관 정기감사”에서 해고 1명, 강등 2명, 정직 2명, 경징계 4명, 주의 5명과, 음주 1명은 군감사계 조사후 징계요구등 총 15명이 중·경 징계요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대해 군 관계자는 “감사원으로부터 이들에 대해 징계요구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감사원의 구체적인 감사결과를 받지못해 최종 통보문을 기다리고 있다"며 "감사원이 징계요구안을 최종 통보하면 전남도 인사위원회에 징계를 의뢰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현재 최종 통보문을 아직 받지 않았지만 징계수위가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감사원 소식이 공무원들 사이에 퍼지며 공직사회는 급속히 술렁이고 있다.

징계사유와 징계수위 등을 놓고도 의견이 분분하다. 잘못했지만 징계수위가 너무 센 것 아니냐부터 당연한 결과다. 또 시대적요구다. 또는 과도기다. 갈수록 공무원 생활하기 힘들겠다.등 다양한 의견과 생각들이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성과 갑질에 대한 전문 매뉴얼과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도 언급됐다

즉 성폭행, 성추행, 성희롱과 갑질관련에 대해 군수, 부군수 및 군감사계와 행정과 인사계 등 위와 관련된 외부전문위원으로 구성된 기구가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문제 발생시 관련부서의 신속한 대처로 제2. 제3의 피해자와 가해자가 발생되는 것을 막자는 것이다.

평소 군정에 관심있는 한 군민은 "도대체 이게 무슨 일이냐"며 "지금껏 우리군에 이런 일이 한번도 없었는데 기가 차다"며 "얼마전까지만 해도 군의원들의 비리로 난리더니 이제는 군청 공무원들이 난리냐"며 "서로 못났다고 북치고 장구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도 "지금은 시대가 완전 변했다"며 "관련자들의 철저한 자기 반성과 이번 일을 교훈삼아 두번 다시 이런 불미스런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당사자들은 물론 직·간접 관련부서등도 재발 방지에 총력을 기울려야 할 것이다”고 일침을 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