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맞춤형 혁신 모델로 자리 잡아야”
김정희 전남도의회 교육위원장은 지난 11일(목) 열린 제393회 임시회 교육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전라남도교육청 업무보고를 받고, 도내에서 추진 중인 교육발전특구 사업이 보여주기가 아닌 실질적 성과가 나올수 있도록 지자체와 긴밀한 협력을 부탁했다.

현재 전라남도교육청 산하 21개 교육지원청(장흥군 제외)은 각시군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특성을 살린 다양한 교육발전특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학생들의 학습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일부 사업이 보여주기식 행사나 단발성 프로그램에 치우쳐 지속가능성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교육발전특구는 지역 실정에 맞게 설계되어야 하며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체계적인 사업 기획과 성과 관리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무엇보다 학부모와 학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며 “교육지원청과 본청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21개 교육지원청이 각 지자체와 협력 관계를 균형 있게 이끌고, 사업 과정에서 불필요한 중복과 예산 낭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며 “교육발전특구가 전남형 지역교육혁신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본청 차원의 지원체계도 촘촘히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전라남도교육청은 다양한 특화 프로그램을 추진해 왔으나, 효과 검증 부족과 성과 확산의 한계가 지속적으로 지적됐다. 이번 교육위원회의 지적을 계기로 교육발전특구 사업이 학생 중심·성과 중심 정책으로 전환되어, 지역교육 발전을 이끄는 혁신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임지락 도의원, 공공건축물 목재활용 확대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 김정희 교육위원장, 2030 미래교실 추진 상황 점검
- 전남도의회, 청년 농촌 창업 해법 모색…“맞춤형 전략으로 지방 소멸 막아야”
- 신민호 도의원, 전남통합대-거점대-의대 신설로 이어져야
- 윤명희 경제관광문화위원장,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성공 릴레이 응원
- 이철 전남도부의장, “완도 연륙·연도교 건설로 섬 주민 생명 보장해야”
- 전라남도의회, 통합대학 교명 공모 환영… 국립의대 설립 첫걸음
- 신민호 도의원, ‘리박스쿨 사태’ 전남교육청 무책임 질타
- 김성일 도의원, 솔라시도 사업 부진 질타... 실질적 대책 촉구
- 류기준 도의원, 화순광업소 광해복구 적극적인 대책마련 주문
- 김정희 교육위원장, “AI‧디지털 혁신은 전남미래교육의 생존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