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및 외청기관, 지난해 해킹 시도 16,197건. 전년 대비 1.8배 증가
김영진 의원 "잇달은 정보유출 사태에 정부기관들도 경각심 가져야"

통신사·카드사의 연이은 정보유출사태 속에 지난해 기획재정부와 소속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시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수원시병)이 기획재정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8월) 기재부와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한국재정정보원에 대한 해킹 시도 탐지 건수가 60,566건에 달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국세청이 23,356건으로 가장 많았고, 통계청 18,400건, 조달청 10,408건, 관세청 6,013건, 기획재정부 1,259건, 재정정보원 1,130건 순이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지난해와 올해 해킹 시도 건수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6개 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는 2023년 대비 2024년 1.8배 증가하였고, 특히 한국재정정보원은 6.2배, 관세청도 5.7배나 증가하였다. 국세청의 경우 올해 8월까지 해킹시도 건수가 6,539건으로 지난해(4,688건) 보다 2천건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들 6개 기관은 국내(14,488건)보다 국외(46,078건)에서 해킹 시도가 압도적으로 많은 가운데 미국에서 해킹 시도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많은 해킹 시도가 있었지만 6개 기관 모두 실제 해킹까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만 국가의 재정은 물론 개별납세자들의 과세정보까지 다루는 등 민감한 개인정보까지 다루는 기획재정부 소속기관들이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김영진 의원은 “최근 KT·롯데카드 등 민간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한 가운데 개인의 과세정보 등을 다루는 기획재정부 소속기관들도 해킹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며, “해킹시도가 급증하고 있는만큼 해킹방지를 위한 예산과 인력을 적극 투자하여 철저하게 대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김영진 의원, “‘금수저’ 미성년자 3300명, 부동산 임대로 600억 벌었다”
- 김영진 의원, “편법 증자·합병에 초과배당까지…5년간 주식 탈세 5조 원”
- 김영진 의원, “공공기관 산업재해 사망자 6년간 185명”
- 김영진 의원, “0세 배당소득자 10배 증가…미성년 조기 증여 급증세”
- 자동차 생산라인 멈춘 재규어·랜드로버 악몽, 이번엔 지프·마세라티까지... 글로벌 車업계 '사이버 공격' 비상
- ‘SNS 마켓’ 사업자 수 4년 사이 3배 ‧… 체납액은 상반기에 작년 규모 추월
- 추석 연휴기간 '스미싱' 조심, ‘명절 선물 지원금·소비쿠폰’ 미끼로 기승….카카오톡 통한 공격 39.6%...정부 주도 피싱 차단 의무화 실행한 정부, 스미싱과의 전쟁
- 김영진 의원, “‘조세회피’ 차명재산 6100억 원 돌파…규모 증가”
- 김영진 의원, 한국은행 자체 감사활동 3년 연속 하위권
- 김영진 의원, “먹튀주유소 5년간 675억 탈세…실제 추징은 고작 1%”
- 김영진 의원, “대기업·고소득·민생·역외탈세, 최근 5년간 1.2만건 적발…부과세액만 21조 원”
- 김영진 의원, 지난해 주한미군 마약 밀반입, 3배 이상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