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신전선상유십이(今臣戰船尙有十二), 불굴의 결의가 깃든 보성
보성군(군수 김철우)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보성읍 열선루공원 내 열선루에서 ‘제1회 열선루 이순신 학술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열선루는 1597년,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선조에게 “신에게는 아직 열두 척의 전선이 있습니다(今臣戰船尙有十二)”라는 장계를 올리며 조선 수군 재건의 결의를 다진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번 학술세미나는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과 사단법인 전라남도이순신연구소가 공동 주관했으며, 김철우 보성군수, 김경열 보성군의회 의장, 채희설 보성문화원장을 비롯한 지역 인사 및 군민 100여 명이 참석했다.
식전 행사로는 ‘이순신 상유십이 공연’이 펼쳐져 눈길을 끌었다. ‘이순신 승전가 연주’, ‘승전무’, ‘상유십이 강강술래’ 등 12인의 예술단이 장군의 결의를 예술로 형상화해 열선루의 역사적 상징성을 드높였다.
세미나는 박정중 보성이순신문화연구원장이 사회를 맡고, 김병인 전 전남대학교 부총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이어 세 명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첫 번째 발표에서 노기욱 전라남도이순신연구소장은 「보성 열선루와 이순신 상유십이 장계」를 주제로, 장계가 작성된 역사적 사실과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고증했다.
두 번째 발표에서 정현창 전남대 문화유산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보성 이순신 장군 유진 지명 고찰」을 통해 명교마을(백사정)과 군학마을(군영구미)을 중심으로 한 출전 경로를 문헌과 지형 분석으로 입증했다.
세 번째 발표에서 김상욱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연구위원은 「보성군민의 임진의병 활동」을 주제로, 남원·성주·진주 등지에서 전투를 벌이다 순국한 보성 의병들의 항전사와 민중의 호국정신을 조명했다.
집단 토론에는 한동훈 전 MBN-TV 홍보부장, 이용규 무등일보 제작국장, 박일훈 남악신문 대표 등이 참여했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열선루 이순신 학술세미나는 이순신 장군과 보성의 역사적 인연을 학문적으로 밝히고, 그 정신을 후대에 전하는 첫걸음”이라며 “열선루를 전국에서 찾아오는 보성의 역사 문화 랜드마크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보성군은 이순신 장군의 안가(安家)가 있던 지역으로 칠천량 해전 패전 이후 보성 박곡마을 양산항에서 유진 중이던(1597.8.13.) 이순신 장군이 조선 수군 12척의 재편을 결심하고, 나라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힌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보성군, 청년이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보성을 만든다!
- 제1회 보성 열선루 이순신 역사문화축제 교통·주차 대책
- '제1회 보성 열선루 이순신 역사문화축제' 10월 24~26일 개최
- 이순신 장군의 위대한 발자취, 보성군에서 만나다!
- 보성군, 농작업 안전 재해 예방・지원 조례 입법 예고
- 윤동진 보성군의원, ‘보성군 저소득계층 노인 간병비 지원 조례안’ 발의
- 보성군-김제시 귀농귀촌협의회, 자매결연 협약 체결
- 보성군, ‘복지 위기가구 발굴 캠페인’ 전개
- 전남교육청, 건강장애학생 ‘오감 체험 가족캠프’ 운영
- 이순신 장군의 붓끝이 깃든 '열선루' 보성에서 ‘이순신 정신’을 쓰다!
- 수협중앙회, 수산 1 번지 전남으로 이전해 ‘현장 중심 협동조합’ 으로 거듭나야
- 보성군, 전국 최초 ‘제1회 보성 열선루 이순신 역사문화축제’ 대성료
- 보성군, ‘제2회 녹차수도 보성 다~청년페스티벌’ 성료
- 보성군, 카드형 보성사랑상품권 '코리아그랜드페스티벌' 특별 할인
- 보성군, 전남대병원과 함께 ‘백세인 연구조사 발대식’ 개최
- 보성군, 박진우 작가 초청 '제377회 보성자치포럼' 성황리에 개최
- 보성군, ‘행복을 전하는 밑반찬 나눔 & 마음 살핌 봉사’ 추진
- 보성군의회,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