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시민단체 “명칭 변경에 1억5천만원 지출, 시급한 과제 외면” 비판
광주광역시교육청 산하 12개 직속기관이 최근 명칭 변경 사업에 약 1억5천만 원의 예산을 집행한 것으로 드러나 예산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6일 보도자료를 통해 “광주시교육청의 직속기관 명칭 변경이 불필요한 예산 소요로 이어졌다”며 “보다 시급한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전시성 사업에 예산과 행정력을 집중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시민모임이 분석한 각 기관별 예산 집행 내역에 따르면, 12개 직속기관에서는 명칭 변경으로 인해 간판·표지석·직인·안내판 교체 등에 총 1억5천여만 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간판 교체 비용만 약 7,645만 원에 달해 전체 집행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기관별 집행액을 보면, 해양수련원이 약 2,183만 원으로 최다였고, 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약 1,954만 원), 창의융합교육원(약 1,900만 원), 학생교육문화회관(약 1,750만 원), 유아교육진흥원(약 1,470만 원), 중앙도서관(약 1,444만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시민모임은 “학생 교육복지 확대, 노후 시설 보수, 노동자 근로조건 개선 등 학교 현장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하지만 광주시교육청은 예산 부족을 이유로 학생 안전과 관련된 석면 제거 공사(올해 겨울방학 대상 24개교)는 내년으로 연기하면서, 명칭 변경 사업에는 아낌없이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며 이중적인 행정을 지적했다.
이어 “내년도 지역 교육 재정 여건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 예상된다”며 “불필요한 전시성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학생과 교직원 등 교육수요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학교 현장에 예산 투입을 우선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광주시교육청 측에서는 명칭 변경의 필요성과 절차, 예산 집행의 불가피성을 강조해왔으나, 학교 현장의 다양한 교육복지 요구와 안전 문제 해결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 “홍기월 의원, ‘협약형 특성화고’2년 연속 0곳… 광주시교육청 무관심 질타”
- 광주서부교육지원청,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 정무창 시의원, 광주 학교 반경 1㎞ 내 성범죄자 거주, 전국 최고 수준
-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교사 정원 확보·예비교사 지원 앞장”
- 광주시교육청, 광주 학교예술교육 페스티벌 성료
- 광주시교육청, 교육행정 데이터 분석·활용 발굴대회 ‘최우수상’
- 광주시, 수능 종합 지원… 교통상황실 가동
- 광주시, ‘여성폭력 단호 대응’ 합동 캠페인
- 광주광역시의회,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금호지구 공사현장 점검
- [내일날씨]칼퇴 부르는 '회색빛 금요일'…푸른 가을 하늘 대신 구름만 가득
- 전남대 음악학과 김봉섭, 세계영화음악상 ‘젊은 작곡가상’ 수상
- 광주시립수목원, 이동불편 없는 무장애시설 ‘인증’
- 광주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농산물 신품종 홍보
- 광주시, 상무지구 도심융합특구 기업유치 본격화
- 광주시교육청, 수능시험장 안전점검 실시
- 광주시교육청, 8일 공립 유·초·특수교사 임용 1차 시험
- 광주시교육청-전남대 지리학과, 학교 항공촬영 지원
- 광주희망사다리교육재단, 기부금 1천200만 원 전달받아
- 광주시교육청, 청렴 슬로건 숏폼 영상 공모전 시상식 개최
- 빛고을학생기술봉사단, 장애인 가정 주거환경 개선 봉사 펼쳐
- 광주창의융합교육원, 초등영재 632명 배출
- 광주시교육청, 유치원·어린이집 예비교사 연수 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