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부터 11월 중순까지 약 10% 수준까지 운항 줄이는 계획 발표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예산 갈등으로 행정 기능이 부분 정지된 상태)이 날로 심화하자 연방항공청(FAA)이 공항 운항 감축을 결정했다. 이에 한국-미국 직항 노선의 운항 차질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 항공사들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로스앤젤레스 공항 활주로에서 출발 대기 중인 비행기 [사진=로스앤젤레스국제공항(LAX)]
로스앤젤레스 공항 활주로에서 출발 대기 중인 비행기 [사진=로스앤젤레스국제공항(LAX)]

지난달 1일 이후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40일째 이어지면서, 이달 6일(한국 시간) FAA는 미국 40개 주요 공항 운항을 최대 10% 줄이기로 했다. 상원이 예산 합의를 추진하며 셧다운 종료 가능성이 열렸지만, 감축 조치는 이미 발동 단계에 들어섰고 한국과 미국을 오가는 노선도 영향권에 들었다.

FAA는 이달 7일부터 단계적 감축을 시작해 11월 중순 약 10% 수준까지 비행편 수를 줄이는 비상 운항계획을 내놨다. 공식 사유는 관제 인력과 보안 인력의 무급 근무, 인력 부족,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 우려다. 애틀랜타, 로스앤잴레스, 시카고 오헤어, 뉴욕 JFK, 댈러스포트워스 등 핵심 거점 공항 다수가 대상에 포함됐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운항 감축 대상 공항 상당수는 인천발 직항 노선을 운영한다. 이번 감축 조치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미국 주요 항공사가 운항하는 공항(LAX, SFO, SEA, JFK, ATL, ORD, DFW, HNL, IAD)이 모두 포함됐다. 업계 관계자들은 슬롯을 다시 나누는 과정에서 한국 노선만 별도 보호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했다.

공항을 떠나는 대한항공 비행기 [사진=Los Angeles World Airports]
공항을 떠나는 대한항공 비행기 [사진=Los Angeles World Airports]

단기적으로 항공사들은 수익성이 높은 태평양 장거리 노선을 최대한 지키려 할 가능성이 크다. 대신 미국 내 단거리, 중소도시 노선을 우선 줄여 감축 비율에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인천에서 서부 혹은 동부 거점까지는 기존처럼 도착 가능하지만, 미국 내 국내선 환승이 끊기거나 줄어 탑승객의 최종 목적지 이동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연방정부 셧다운이 계속되거나 FAA의 조치가 빠르게 해소되지 않을 시 장거리 국제선 자체가 조정 대상에 오를 가능성도 제기됐다. 미국 항공사는 자국 내 노선을 방어하기 위해 인천 노선 축소를 선택할 여지가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도 슬롯 재배분에 따라 시간대 변경, 공동운항 축소, 일부 감편을 검토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된다. 

화물 수송 차질도 현실적인 변수다. 감축 대상 거점 공항의 처리 능력이 줄면 인천발 반도체, 배터리, 전자상거래, 신선신품 등 항공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배송이 지연되거나 타 공항으로 우회해야 한다. 특송 허브 혼잡까지 겹칠 경우 국내 수출 기업의 운임 부담과 납기 기간 불확실성이 구조적으로 확대되는 구도가 형성된다.

인천국제공항 T2 출국장 [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 T2 출국장 [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이미 판매된 추수감사절, 연말 성수기 항공권을 구매한 소비자들은 리스크를 떠안게 됐다. 감축 계획에 맞춘 항공편 조정이 현실화하면, 한국 출발 승객의 일정 변경, 경유 공항 변경, 대체편 배정 과정에서 적지 않은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유학생, 주재원, 필수 출장객 등 일정 유연성이 낮은 승객군이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

이번 상황은 정부와 국회의 단순한 예산 갈등이 아니라 팬데믹 이후 누적된 관제 인력 부족과 인프라 투자 지연 문제가 셧다운을 계기로 표면화된 결과에 가깝다. 항공편의 지속적 증가와 인력 공백이 실제 감편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구조적 리스크가 한국과 미국 사이 장거리 네트워크로 쉽게 전이될 수 있음이 확인된 셈이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FAA의 운항 감축 조치와 셧다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항공편 조정이 불가피할 경우에도 탑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