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를 이용한 MgO(산화마그네슘) 입자 수화 억제 코팅 기술
한국광기술원(원장 신용진)은 플라즈마 기술을 적용하여 MgO(산화마그네슘) 입자의 수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코팅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전자제품의 집적화로 발열 문제가 심화되어 고성능 방열 소재 개발이 절실한 상황 속에서 MgO(산화마그네슘) 입자는 높은 열전도도(30~60W/m·K)와 뛰어난 절연성(1×1017 Ω·㎝)을 지니고 있어, 차세대 방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MgO 입자는 공기 중에 쉽게 수화하여 방열 소재로서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방열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화 억제 코팅이 필수적이지만 MgO 입자 표면과 코팅물질과의 낮은 반응성 때문에 일반적인 코팅 방법(습식개질, 화학증착법 등)으로는 개질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한국광기술원 연구팀은 강한 에너지를 지닌 플라즈마를 활용하여 코팅물질의 반응성을 높임과 동시에 MgO 입자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막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플라즈마 코팅 후 MgO 입자의 물에 대한 접촉각은 흡수로 인한 측정불가에서 125°로 증가하고, 시간에 따른 접촉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코팅의 균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85°C/85RH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측정한 결과, 코팅된 MgO는 무게 변화가 거의 없어 코팅되지 않은 MgO에 비해 매우 높은 수화안정성을 나타냈다. 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통해 수화 억제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플라즈마를 사용하는 본 기술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30분 미만의 짧은 반응시간으로 MgO 입자의 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입자 표면의 균일한 코팅막은 MgO 입자의 물성을 장시간 유지해 줄 뿐 아니라 에폭시와 같은 소수성 바인더와의 친화력도 향상시킨다. 실제로 코팅된 MgO 입자를 에폭시와 혼합하여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 접착력이 기존 대비 약 50%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접착제 내에서 코팅되지 않은 MgO 입자는 수화로 인한 체적 팽창 및 열전도도 저하 등의 물성 변화가 있어 접착제 성능도 점차 나빠지게 된다.
이번 수화 억제 코팅 기술이 적용된 MgO 입자는 높은 열전도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 LED 및 반도체 패키징, 이차전지, 5G 통신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나나 실리카 같은 필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조명연구본부 김재필 박사는 “현재 고부가 방열 소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본 기술이 차세대 방열 소재 시장 선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본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인 「낮은 수분투과율 및 Low outgassing 접착소재」 개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현재 국내 특허출원을 마치고 해외 특허출원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 ‘5급 공무원’ vs ‘5억’ 5억 택한 충주시 홍보맨. 김선태 주무관 결국 시장님께 호출
- 홍석준 의원, 중국산 장비 보안대책 시급, "정보통신망법" 조속한 국회 통과 촉구
- 롯데건설∙롯데정보통신, 건설분야 AI 전문 파트너사와 AGI 기술개발 업무협약(MOU) 체결
- GIST, '100와트급 수전해 시작품' 개발… 암모니아수 활용 "친환경 저전력 그린수소" 생산
- 전남대 학생연구원, 신규 해양수산생명자원 3종 학계 보고
- 전남대, 일본과 협력 확대…교류 활성화 나서
- 한국광기술원, UC Davis와 국제협력 위한 MOU 체결
- 한국광기술원, 제7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회 개최
- 한국광학회-한국광기술원, 서울 마포에서 '제7회 세계 빛의 날 기념행사 및 특별강연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