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틴 측근, "우크라에 유럽 평화유지군 파병 시 나토와의 전쟁으로 이어져" 경고

우크라이나는 현재 미국이 제안한 30일 휴전안에 합의한 이후 러시아 측에서 이를 수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휴전 자체는 옳고 지지하지만 논의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라며 이를 곧바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서방국이 러시아를 압박하면 러시아의 완강한 태도를 바꿀 수 있다고...[본문 중에서]
우크라이나는 현재 미국이 제안한 30일 휴전안에 합의한 이후 러시아 측에서 이를 수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휴전 자체는 옳고 지지하지만 논의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라며 이를 곧바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서방국이 러시아를 압박하면 러시아의 완강한 태도를 바꿀 수 있다고...[본문 중에서]

트럼프, "푸틴과 대화 할 것...-'특정 자산 분할' 관련 사항 진행 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18(현지시간) 대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인 17일 플로리다에서 워싱턴DC로 복귀하는 대통령 전용기편에서 취재진에게 이같이 말했다.

주요 내용은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준비하기 위한 미국과 러시아 정상의 대화 일정에 관한 것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주말 동안 많은 일이 이뤄졌다면서 양국 정상이 전쟁을 끝낼 수 있는지 지켜보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게 할 수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지만 일단 우리에게 매우 좋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나와 관심이 같은 사람이 본 뉴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종전 협상 의제가 될 사안에 대해 잠시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우-러 양측에서 '특정 자산의 분할'과 관련한 대화가 현재 진행 중이라며, 그중에서도 영토(land)와 발전소들이 중점적으로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발전소는 러시아군이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내 원자력 발전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과 관련한 러시아와의 협상에 대해서 잘 진행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지난 16일에 방영된 뉴스 프로그램 '풀 메저'(Full Measure)와의 인터뷰에서 협상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해당 평가는 최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만남을 가진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특사의 보고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위트코프 미국 특사는 지난 13일 푸틴 대통령과 3~4시간 정도 만나 종전 해결책을 논의했고 양측의 입장 차를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휴전에 동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에는, "너무 많은 사람이 죽고 있기 때문에 그건 나쁜 소식이지만, 난 그(푸틴)가 동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우크라, "30일 휴전안 러시아가 수용해야"...러시아, "우크라에 어떤 형태의 외국군 배치에도 반대"


한편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휴전이 지연되는 이유에 대해 러시아가 휴전에 동의하기 전에 군사적 위치를 더 강화하길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 15일 기자회견에서 러시아는 전황을 더 유리하게 바꾸고 싶어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종전 협상에서 주요 안건이 될 러시아 점령지 관련 질문에는 "이 전쟁에서 영토 문제는 복잡하다"면서도 "나는 점령지를 결코 러시아 영토라고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푸틴 대통령과 위트코프 미국 특사의 만남과 관련해서는 "모스크바에서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잘 모른다"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는 현재 미국이 제안한 30일 휴전안에 합의한 이후 러시아 측에서 이를 수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은 "휴전 자체는 옳고 지지하지만 논의할 문제들이 남아 있다"라며 이를 곧바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서방국이 러시아를 압박하면 러시아의 완강한 태도를 바꿀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는 이와 관련하여 엑스(X·옛 트위터)에도 "서방의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의 안보 보장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적었다. 이어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영토에 병력을 배치하는 문제를 포함해야 한다"라고 했다.

우크라이나의 안보 보장을 위해 유럽 국가에서 논의 중인 평화유지군 파병과 관련하여 러시아는 날 선 반응을 보였다. 푸틴 대통령의 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평화유지군 파병이 곧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지난 16일 자신의 눈 엑스(X)에서 평화유지군 파병에 적극적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를 비판했다.

유럽 국가 중에서도 영국과 프랑스는 파병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며 관련 논의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왔다. 실제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유럽군 파병론을 제안했고, 스타머 총리도 우크라이나에 평화유지군을 배치하는 데 동의했다. 프랑스와 영국을 포함한 30개국은 최근 평화유지군 파병 논의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이들은 지난 15일 화상 정상회의를 진행했고, 오는 20일에는 군 수뇌부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메드베데프 부의장은 이와 관련하여 양국 정상이 어리석게 행동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그는 이들이 '우크라이나 평화유지군은 반드시 비() 나토 국가에서 보내야 한다'고 여러 번 밝힌 러시아의 입장을 무시하고 있다고 적었다. 이어 "그 대신 이들은 키이우의 신나치주의자들에게 군사 지원을 제공하기를 원한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나토와의 전쟁을 의미하며, 해당 안건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상의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러시아 측의 이러한 경고에도 마크롱 대통령은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이며 설전을 벌이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 지역 일간지 르 파리지앵과 라 데페슈 뒤 미디와의 인터뷰에서 "여러 유럽 국가들에서 더 나아가 비유럽 국가들까지 우크라이나에 병력을 파견해 평화협정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가 안전 보장도 없이 영토를 넘겨주는 일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마크롱 대통령은 러시아의 외국군 파병 반대 주장과 관련해서도 러시아의 동의는 처음부터 필요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는 주권 국가이기 때문에 동맹군 주둔을 요청할 수 있다. 러시아는 이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권한이 없다"라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 이후에 러시아 측은 어떤 형태로든 외국군 배치를 반대한다고 곧바로 입장을 표명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러시아는 나토 병력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이든 간에 우크라이나에 배치되는 모든 외국군에 반대한다"라고 거듭 밝혔다. 그러면서 이 같은 방침이 전후 안전 보장을 위해서 파병되는 군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워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