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S일렉트릭은 5월 9일 LS타워에서 전기차 충전 솔루션 전문 기업 펌프킨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국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협력에 나섰다. 이번 협약은 전기차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기술 자립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양사는 이날 행사에서 전기 상용차 충전기 전용 DC(직류) 차단기 등 핵심 솔루션의 공동 개발과 품질 향상을 통한 고객 신뢰 확보 방안을 논의했으며, 앞으로 국내외 신규 시장 진출을 위한 공동 협력 계획도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자사 전력기술과 펌프킨의 충전기 개발 역량을 결합해 충전기 인프라 전반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방침이다.
현재 국내 전기차 충전기 시장은 핵심 부품인 DC 차단기와 파워 모듈 등에서 중국산 제품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특히 파워 모듈의 경우 중국산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공 급속충전기 분야에서도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산 제품이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전기차 충전기 시장 규모는 약 3,372억 원에 달하며, 품질 및 기술 자립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이번 협약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
김동영 LS일렉트릭 이사는 “충전기 핵심 부품 국산화를 위해 기술력 강화는 물론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해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장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 이라고 말했다.
최용길 펌프킨 총괄사장은 “LS일렉트릭과의 협력을 통해 고속 충전기의 신뢰성과 성능이 한층 강화되는 것은 물론 국산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며 “앞으로도 기술력 있는 국내 기업과 함께 한국형 충전 인프라의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 LS일렉트릭, 대만 친환경 전력 솔루션 시장 공략 본격화
- LS일렉트릭,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속도 내는 이유는?
- LS일렉트릭, 일본 ESS 시장 최대 규모 수주로 본격 진출하나?
- LS일렉트릭은 배스트럽 캠퍼스로 북미 시장에서 어떤 전략을 펼치고 있나?
- LS ELECTRIC은 ESS 구축으로 제주 전력 계통 안정화를 이끌 수 있을까?
- LS일렉트릭이 파워일렉트로닉스와 체결한 글로벌 ESS 협약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 LS일렉트릭은 ELECS VIETNAM 2025를 통해 아세안 전력 시장 공략에 성공할 수 있을까?
- LS ELECTRIC은 왜 네이버클라우드와 AI 전환 협력을 강화하고 있나?
- LS일렉트릭, 미국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수주로 북미 공략 강화하나?
- LS일렉트릭·볼보그룹코리아, 재생에너지 100% 전환 계획 어떻게 추진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