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S ELECTRIC이 제주도 신재생에너지 과잉 전력 문제 해결을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회사는 4월 23일 PCS 10MW, 배터리 40MWh급 대용량 ESS 구축 공사의 착공식을 열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착공식에는 지역 주민을 비롯해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이지스자산운용, 건화, 에스피브이, 에코그리드솔루션 등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제주도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높아 전력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계통 안정화를 위한 ESS의 필요성이 크다.
LS ELECTRIC은 이지스자산운용, 건화, 에스피브이 등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지난 2023년 11월 ‘제주 1차 장주기 BESS 구축사업’ 중 한림읍 지역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번 사업은 2025년 11월 준공 후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회사는 일본, 영국 등지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EPC(설계·조달·시공)를 직접 수행하며, 준공 이후 15년 동안 유지보수와 운영관리(O&M)도 맡는다.
손창희 LS일렉트릭 스마트에너지사업부장은 “지역주민은 물론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등 사업 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사업을 완료하고 제주 지역 계통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 며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국내 대용량 ESS 구축 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 스마트에너지 사업이 LS일렉트릭의 확실한 미래 먹거리가 되도록 할 것” 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LS ELECTRIC, AI 기반 공장 안전관제 플랫폼 출시
- LS일렉트릭, 대만 친환경 전력 솔루션 시장 공략 본격화
- LS일렉트릭, 북미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에 속도 내는 이유는?
- LS일렉트릭, 일본 ESS 시장 최대 규모 수주로 본격 진출하나?
- LS일렉트릭은 배스트럽 캠퍼스로 북미 시장에서 어떤 전략을 펼치고 있나?
- LS와 한진 그룹, 항공우주산업 협력을 강화할 계획인가?
- LS일렉트릭, 펌프킨과의 협력으로 전기차 충전기 국산화 가능성 높이나?
- LS일렉트릭이 파워일렉트로닉스와 체결한 글로벌 ESS 협약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 LS일렉트릭은 ELECS VIETNAM 2025를 통해 아세안 전력 시장 공략에 성공할 수 있을까?
- LS ELECTRIC은 왜 네이버클라우드와 AI 전환 협력을 강화하고 있나?
- LS일렉트릭, 미국 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수주로 북미 공략 강화하나?
신대성 기자
2580@newsworker.co.kr
기자의 다른기사 
